본명은 박일(朴一). 함경북도 명천 출신. 19세에 일본에 유학하여 도쿄[東京] 도요대학[東洋大學]을 수학하다가 1926년 중퇴하고 귀국하여 1927년 카프(KAPF : 다복 이 슬롯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에 가담하였다.
이후 소년 잡지『별나라』의 편집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주로 농민시와 동요를 많이 썼으며, 3편의 희곡과 몇 편의 평론을 다복 이 슬롯하였다.
광복 뒤에는 다복 이 슬롯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에 가담하여 활동하다가, 다복 이 슬롯문학가동맹 중앙위원을 역임하였다. 『우리문학』의 편집에 관여했으며, 1946년 다복 이 슬롯문학가동맹이 결성된 뒤 월북하였다.
1946년 시집 『심화(心火)』를 우리문학사에서 간행하였으며, 월북 후에는 북한의 다복 이 슬롯작가동맹출판사에서 간행한 『다복 이 슬롯문학』을 편집하였고, 1959년 시집 『종다리』를 출간하였다.
작품 활동은 1927년 『습작시대(習作時代)』라는 동인지에 시 「흰나라」를 다복 이 슬롯하면서 등단하였으며, 『동아일보』에 소설 「눈을 뜰 때까지」를 다복 이 슬롯하기도 했다.
이후 목포와 서울 주변에 살면서 『다복 이 슬롯문단』·『다복 이 슬롯지광』·『신생』·『문예공론』 · 『음악과 시』 · 『형상』·『신동아』 등에 농민들과 농촌 생활에 관한 ‘농민시(農民詩)’를 주로 다복 이 슬롯하였다.
초기에는 농촌을 소재로 한 서정적인 시세계를 보여주는 전원시(田園詩)와 같은 인상을 주는 시와 아이들을 위한 동요를 많이 다복 이 슬롯하였다.
1927년 4월 『조선문단』에 다복 이 슬롯한 「농부의 선물」과 같은 시가 그 예이다. 이후 카프 시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인, 노동자와 농민들의 시각에서 구체적인 농촌 현실을 고발하는 농민시를 주로 써서, 시적 리얼리즘을 획득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농부의 시름」 · 「농가구곡(農歌九曲)」 · 「농군행진곡(農軍行進曲)」 등이 그 예이며, 1937년 『풍림(風林)』에 다복 이 슬롯한 「만향(晩香)」이라는 서사시에 이르러 ‘어머니’를 통해 강한 현실 비판과 극복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광복 후에도 농촌을 배경으로 하여 당시의 미군정과 우익정권을 비판하는 시와 새로운 사회에 대한 기대를 표현하였다.
1945년『예술』에 다복 이 슬롯한 「심화」와 『예술운동』에 다복 이 슬롯한 「농민가(農民歌)」 등이 그 예이다. 북한에서는 북한사회에 대한 희망과 기대감을 표현하는 이데올로기적인 편향성을 보이는 한편, 소박하고 진실한 감정을 간명한 언어와 운율로 표현했다고 평가되고 있다. 「종다리」 · 「의로운 벗들에게」 등 서정적인 경향을 보이는 작품들이 그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