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편슬롯나라무료(短篇映畵)로 픽션을 곁들인 극슬롯나라무료(劇映畫, story film)와 대립되는 의미를 지닌다. 독일어 Kultur film을 직역한 말에서 왔으며 대체로 다큐멘터리슬롯나라무료(documentary film)의 총칭으로 사용되었다.
슬롯나라무료사 초창기에는 기록슬롯나라무료나 실사슬롯나라무료 따위의 동일한 개념으로 받아들였으나 그 뒤 다큐멘터리 필름이 기록슬롯나라무료라는 명칭을 가지게 되자 계몽·교육·기행 등 모든 단편슬롯나라무료의 총칭으로 쓰여졌다.
즉, 극슬롯나라무료·뉴스슬롯나라무료를 제외한 모든 비극슬롯나라무료(非劇映畫)의 총칭으로 쓰여왔다. 그러나 교육슬롯나라무료·계몽슬롯나라무료 등 그 제작목적에 따라 명칭이 세분화되기 시작한 뒤부터는 점차 문화슬롯나라무료라는 말이 소멸된 감이 있고, 기록슬롯나라무료라는 명칭으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문화슬롯나라무료와 기록슬롯나라무료의 차이점은, 기록슬롯나라무료는 슬롯나라무료를 다분히 사회개량의 도구로 활용한다는 점과 문화슬롯나라무료는 슬롯나라무료를 문화정책의 수단으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역사적으로 문화슬롯나라무료의 효시는 제1차세계대전 직후 독일이 만든 위생슬롯나라무료(衛生映畫)이며, 독일은 그 뒤 UFA사가 Kultur Film이라는 이름으로 단편의 과학슬롯나라무료를 잇따라 제작하여 문화슬롯나라무료의 전통을 세웠다.
우리 나라에서의 최초의 기록슬롯나라무료는 1919년 당시의 서울 시가지풍경을 수록한 <경성 전시(全市)의 경(景)>이다. 문화슬롯나라무료와 기록슬롯나라무료라는 용어는 서로 혼동되어 사용되어 왔는데, 문화슬롯나라무료가 우리 나라에서 공용어로 정착하게 된 것은 1973년 현행 <슬롯나라무료법> 제정과 함께 문화슬롯나라무료의 상영을 강제 실시하면서부터이다.
<슬롯나라무료법>에 보면 “문화슬롯나라무료라 함은 사회·경제·문화 등 제 슬롯에 있어서 교육적·문화적인 효과 또는 사회풍습을 묘사, 설명하기 위하여 제작한 슬롯나라무료를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약간의 실사(實寫)필름, 소박한 계몽슬롯나라무료 정도밖에 없었던 우리 나라에서 문화슬롯나라무료 제작이 본격화된 것은 <슬롯나라무료법>이 문화슬롯나라무료의 동시상영을 의무화시켰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문화슬롯나라무료는 외국의 경우처럼 독특한 예술적 경지를 추구한 작품은 거의 없고, 대체로 우리 나라의 풍속이나 전통적인 생활·의식(儀式)을 담은 경우가 많다. 다양한 소재와 기법으로 실험적인 슬롯나라무료예술을 추구한 작품은 별로 없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