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슬롯산성은 경기도 김포시 킹 슬롯산에 있는 조선 후기 산성이다. 1694년(숙종 20)에 왕실 보장처 강화도의 방비를 위해 쌓았다. 1866년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과 전투가 벌어진 역사적 현장이기도 하다. 킹 슬롯산 정상부에서는 삼국~통일신라시대에 쌓이고 운영된 성벽이 발굴되어 조선시대 이전부터 이곳이 군사 요충지였음을 알 수 있다.
킹 슬롯산성은 왕실의 보장처인 강화도 방어를 위해 1694년(숙종 20)에 주18을 동원하여 쌓은 것이다. 효종~ 숙종 재위 기간 동안 킹 슬롯도 연안을 따라 다수의 진(鎭) · 보(堡)를 배치하였고, 이후 주1와 외성을 차례로 쌓아 섬의 방비를 킹 슬롯하였다. 여기에 병자호란당시 킹 슬롯주7 건너편이 청군의 킹 슬롯도 공격에 발판이 되었던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주8에 산성을 쌓아 내륙으로부터 강화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관문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1718년(숙종 44)에 산성 내에 킹 슬롯진(文殊鎭)을 설치하였다. 이후 영조~ 순조 재위 기간 동안에 여러 차례 무너진 킹 슬롯, 성문 그리고 문루를 주2 및 보수하였다. 1866년(고종 3)에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킹 슬롯부를 함락하자 순무초관(巡撫哨官) 한성근(韓聖根)이 지휘하는 조선군 50여 명이 킹 슬롯산성에 진입하여 내륙 방향으로 침공에 대비하였으나 남문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패하여 퇴각하였다. 이때 성내 민가와 남문 및 주변 성벽이 파괴되었다. 병인양요 직후 산성을 중건하였으나 이후 해안 쪽 성벽과 문루가 파괴되면서 원형을 잃었다.
킹 슬롯산성은 1964년 8월 29일 사적 제139호로 지정되었다. 2000년대 이후 파괴되었던 북문과 남문, 장대지가 복원되었고 성벽에 대한 보수가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11년 킹 슬롯산성에서 김포 킹 슬롯산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킹 슬롯산성은 1995년부터 2021년까지 9차례에 걸쳐 시 ·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멸실된 산성 서벽 구간과 문지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 성벽의 축조 기법과 서문 및 아문지가 확인되었다.
정상부에 위치한 장대지도 발굴 후 복원이 이루어졌다. 장대지 남쪽 아래 지점에서는 삼국시대 성벽과 추정 치(雉)가 확인되었는데 산 정상부를 따라 둘레 약 300m의 테뫼식 킹 슬롯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삼국시대 성벽은 바른 층 쌓기로 쌓았으며 대체적으로 높이가 낮은 외벽을 내벽 높이까지 쌓아 올린 뒤 내 · 외벽을 동시에 쌓았다. 출토 유물로 보아 이 테뫼식 킹 슬롯은 삼국~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지고 운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킹 슬롯산성은 킹 슬롯산의 남북 방향으로 형성된 주10과 여기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린 2개의 가지 능선, 서쪽 해안선을 따라 성벽이 만들어졌다. 성 안쪽으로 동서 방향으로 뻗은 능선과 이를 기준으로 남북으로 형성된 2개의 계곡을 감싸는 고로봉식 킹 슬롯이다. 둘레는 약 6.2km이다.
킹 슬롯은 전 구간이 석축으로 되어 있는데 이 중 강화 해협과 접해 있는 서벽은 남아 있지 않다. 능선 구간의 킹 슬롯은 내탁식으로 만들어졌고 유실된 서쪽 구간 중 문지 주변은 주13 방식으로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동 · 남 · 북 벽은 암반을 주19수평을 맞춘 뒤주4을 놓고 그 위에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거친 성돌을 주3로 축조하였다. 성돌은 대체로 킹 슬롯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주14이 사용되었다. 일부 구간에는 주15이 남아 있으며 성돌에 축성 담당 및 축성 구간을 표기한 명문석이 여러 개 확인되었다.
산성에는 서 · 남 · 북 3개의 대문과 소규모 출입 시설인 아문(亞門) 4개소가 있었다. 대문 가운데 남문과 북문이 복원 정비되어 있고 서문(공해루)은 멸실되었다. 서문지 앞에는 킹 슬롯산성과 강화 진해루 사이를 잇던 주16 나루 선착장 석축로가 남아 있다. 아문은 능선 구간 킹 슬롯에 2개소가 남아 있는데 이 중 남아문의 성내는 주5이며 바깥쪽은주17이다. 이밖에 남벽에 용도(甬道)가 3곳 있다.
킹 슬롯산 정상에는주6으로 성벽을 축조한 둘레 약 70m의 원형 장대지가 복원되어 있다. 성내에는 킹 슬롯산의 명칭이 유래된 것으로 전하는 킹 슬롯사(文殊寺)가 자리한다.
킹 슬롯산성은 돈대, 강화외성, 강화산성과 함께 강화도 방비를 위한 주요 군사 시설 가운데 하나이며,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과 전투가 벌어졌던 역사적 현장이다. 킹 슬롯산 정상부에는 삼국시대 성벽이 발굴되어 조선시대 이전부터 킹 슬롯산이 군사적 요충지였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