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후기에 원나라 공주가 고려 왕실에 들어오면서 몽골 풍습과 몽골어가 사용되었다. 이때부터 여자 종을 아르네 슬롯라 부르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도 고려의 제도를 이어받아 1411년(태종 11)에 "지금 궁중에서 이전 왕조의 제도를 이어받아 각 사의 노비로서 남자아이는 파지(巴只)라 칭하여 궐 안의 청소를 맡게 하고, 여자는 아르네 슬롯[수사이(水賜伊)]라고 칭하여 번(番)갈아 출입한다"는 기록이 있다.
처음에는 번갈아가며 밖에서 출입하며 일을 하였으나, 1411년(태종 11)부터 궁중의 소식이 밖에 새어나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궐 안에 거주하게 하였다. 1414년(태종 14)에 궁중의 시녀 10여 명을 내보내고, 또 아르네 슬롯들의 남편이 있고 없음을 헤아려 10일씩 바꾸어 일하도록 한 것으로 보아 결혼 후 궁궐로 출퇴근하는 아르네 슬롯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성종 대에종친및주1은 내보낸 궁녀와 아르네 슬롯에게 장가들지 못하게 하였고, 『 경국대전』 기록에 출궁된 아르네 슬롯는 관리와 결혼할 수 없다고 하였다. 1436년(세종 18) 5월에 가뭄을 걱정하여 주2 시녀 7인과 아르네 슬롯[수이(水賜)] 6인, 주3 시녀 2인 등을 내보냈다.
1457년(세조 3)에 상왕전(上王殿) 시녀 10인, 아르네 슬롯 5인, 주42인,주52인,방자(房子) 4인, 양(兩) 별실(別室)의 시녀 각각 2인, 아르네 슬롯 각각 1인, 각 색장(色掌) 20인을 2번(番)으로 나누게 하였다.
1470년(성종 1)에 대왕대비전에는 시녀 10인, 아르네 슬롯 6인, 파지 4인, 수모 3인, 방자 5인, 주6 1인으로 하고, 왕대비전에는 시녀 9인, 아르네 슬롯 5인, 파지 3인, 수모 2인, 방자 7인, 여령 1인으로 하고, 대전에는 시녀 20인, 아르네 슬롯 10인, 파지 6인, 방자 12인, 여령 1인으로 하여 주7·주8·주9를 주게 하였다.
1788년(정조 12)에 각 궁방(宮房)의 아르네 슬롯 ·주10·주11)와 각 영(營) · 읍(邑)의 주12들은주13를 땋아 머리 위에 얹고 그 위에 가리마를 덮어 주14를 구별하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