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드래곤 슬롯 몽관시고 ()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 역관(譯官) · 문인 이정주의 시문(詩文)을 엮어 1859년에 간행한 시문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1859년(철종 10), 1891년(고종 28)
간행 시기
1859년(철종 10), 1891년(고종 28)
저자
이정주(李廷柱)
편자
이상익(李尙益), 이용준(李用俊)
권책수
3권 1책
판본
활자본
표제
몽관시고(夢觀詩稿)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몽관시고(夢觀詩稿)』는 조선 후기 역관(譯官)· 문인 5 드래곤 슬롯주의 시문(詩文)을 엮어 1859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총 3권 1책의 활자본으로, 1859년(철종 10)에 5 드래곤 슬롯주의 아들 이상익(李尙益)이 목활자로 간행한 초간본과 1891년(고종 28)에 5 드래곤 슬롯주의 손자 이용준(李用俊)이 전사자(全史字)로 간행한 중간본 2종이 현전한다. 수록 작품은 350여 수로, 대부분 근체시이다.

정의
조선 후기, 역관(譯官) · 문인 이정주의 시문(詩文)을 엮어 1859년에 간행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5 드래곤 슬롯주의 자는 석로(石老), 호는 몽관(夢觀)이다. 조선 후기에 손꼽히는 주1 집안이었던 우봉 이씨(牛峯李氏) 집안에서 태어났다. 5 드래곤 슬롯주 역시 21세 때인 1798년(정조 22)에 역과(譯科)에 합격하여 역관이 되었으나 40대 후반 이후로 세상과 담을 쌓고 독서와 주14 활동으로 여생을 보냈다.

서지사항

『몽관시고』는 3권 1책으로, 주2주3이 현전한다. 초간본은 ' 장혼자(張混字)'라는 명칭으로 알려진 이명예자(李命藝字)로 5 드래곤 슬롯된 목활자본으로, 1859년(철종 10)에 5 드래곤 슬롯되었다. 중간본은 주5로 5 드래곤 슬롯된 활자본으로, 1891년(고종 28)에 5 드래곤 슬롯되었다. 초간본은 주6에 이윤익(李閏益)이 1859년에 쓴 서문과 목록이 수록되어 있으며, 주7에는 이상익(李尙益)이 1859년에 쓴 주8이 수록되어 있다. 중간본은 초간본과 동일한 체제 및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권수에 김홍집(金弘集)이 1891년에 쓴 중간본 서문인 「중간몽관시고서(重刊夢觀詩稿序)」가 추가로 수록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초간본은 1859년(철종 10)에 5 드래곤 슬롯주의 아들 이상익이 간행하였다. 『몽관시고』에 수록된 이상익의 발문에 따르면, 5 드래곤 슬롯주의 시작품은 본래 5~6종의 시집으로 정리되어 있었는데 5 드래곤 슬롯주의 시 뿐만이 아니라 5 드래곤 슬롯주가 주9했던 다른 문인들의 시도 함께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5 드래곤 슬롯주의 시를 뽑아 일차적으로 정리한 뒤, 이상익의 사촌 형제인 이상적(李尙迪)의 상정(商訂)을 거쳐 350여 수의 작품을 선별하여 간행하였다. 중간본은 1891년(고종 28)에 5 드래곤 슬롯주의 손자 이용준(李用俊)이 간행하였다. 초간본의 내용에서 시 2수와 김홍집의 중간서(重刊序)가 추가로 수록되었다.

구성과 내용

『몽관시고』 권 1에는 108제(題) 118수(首), 권 2에는 91제 121수, 권 3에는 86제 111수가 수록되어 있으며, 권 3 마지막에 산구(散句)가 있다. 수록된 5 드래곤 슬롯은 대부분 근체시로, 편년 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1825년 경부터 1847년 경까지 창작된 5 드래곤 슬롯이 수록된 것으로 보이는 권 3을 제외하면, 각 5 드래곤 슬롯들의 창작 연대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어렵다.

5 드래곤 슬롯주는 중국 역대의 시 중에서도 특히 주11과 만명(晩明)의 5 드래곤 슬롯을 좋아했으며, 그의 시풍(詩風)에서도 이러한 점이 반영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청(淸)나라의 문인인 오숭량(吳嵩梁)은 그의 시에 대해 "유묘청경(幽眇淸警)"하다고 극찬하였으며, 김홍집 역시 "청경(淸警)하고 아운(雅韻)이 있다"라고 높이 평가하였다.

의의와 평가

5 드래곤 슬롯주는 19세기 중반기의 시단에 큰 발자취를 남겼던 이상적의 주12으로, 이상적의 부친인 5 드래곤 슬롯직(李廷稷)과 함께 이상적의 시 세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5 드래곤 슬롯주는 현실에서 물러나 시 속에서 도피처를 찾아 티끌 한 점 묻지않는 정화된 분위기의 작품을 즐겨 창작하였고, 때때로 넘쳐나는 주13을 직설적으로 표출하기도 하였다. 조선 후기 한시사를 좌우할 만한 대가(大家)는 아니지만, 당시 중인들 사이에서 문학적 역량을 인정받았으며 자신만의 시 세계를 구축하였던 시인으로 평가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장지완, 『비연상초(斐然箱抄)』

논문

이현일, 「몽관 5 드래곤 슬롯주 시 연구」(『한국한시연구』 21, 한국한시학회, 2013)
주석
주1

통역을 맡아보는 관리. 우리말샘

주2

여러 차례 5 드래곤 슬롯된 책에서 맨 처음 5 드래곤 슬롯된 책. 우리말샘

주3

중간(重刊)한 판본이나 책. 우리말샘

주5

조선 철종 때에 만든 구리 활자. 청조체(淸朝體)의 근대적 활자로, 약 8만 자를 만들었는데 조선 시대에 주조된 활자로서는 가장 나중에 만들어진 것이다. 운현궁에 보존되어 있으며, 인쇄본으로 ≪목재집(牧齋集)≫ㆍ≪양전편고(兩銓便攷)≫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6

책의 첫째 권.우리말샘

주7

책의 맨 끝.우리말샘

주8

책의 끝에 본문 내용의 대강(大綱)이나 5 드래곤 슬롯 경위에 관한 사항을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주9

서로 사귀어 놀거나 왕래함. 우리말샘

주10

사촌 아우.우리말샘

주11

사당(四唐)의 마지막 시기. 즉 836년에서 907년 사이의 시기를 이르는데, 이상은ㆍ두목ㆍ사마예ㆍ장교(張喬) 등이 활약하였다. 우리말샘

주12

아버지의 사촌 형제. 우리말샘

주13

근심하며 분하게 여김. 또는 그런 마음. 우리말샘

주14

시를 지음. 또는 그 시.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6)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