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 맹상군가 ()

맹상군가
맹상군가
고전시가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 본 항목의 m 2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구성 및 형식

단편가사로 장가 또는 사설시조의 형태와 비슷하다. 맹상군의 생애를 슬퍼하고, 살아 있을 동안에 한껏 놀며 즐기자는 m 2 슬롯으로 정철(鄭澈)의 「장진주사(將進酒辭)」와 비슷한 주제의 노래이다. 『청구영언』·『교주가곡집』 등에 실려 전한다.

내용

전문은 다음과 같다.

춘추전(千秋前) 존귀(尊貴)키야 맹상군(孟嘗君)만 할까만은

천추후(千秋後) 원통(寃痛)함은 맹상군이 더옥 섧다

식객이 적돗던가 명성(名聲)이 고요턴가

개 도적 닭의 울음 인력(人力)으로 살아나셔

말이야 죽어지며 무덤 우희 가시나니

초동목수(樵童牧豎)들이 그 우흐로 거닐면서

슬픈 노래 한 곡조를 부르리라 하였을까

옹문주 일곡금(雍門周一曲琴)의 맹상군의 한숨이 오르는 듯 나리는 듯

아해야 거문고 청쳐라 살았을 제 놀리라.

의의와 평가

『청구영언』에는 이 노래를 두고, 무명씨가 지은 것으로 대개 인간세상의 번화(繁華)란 일장춘몽과 같아서 죽은 뒤의 이름이 살았을 제의 즐거움만은 못함을 노래한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노래의 형식으로 보아 사설시조와 거의 구분이 되지 않아, 조선 후기 m 2 슬롯와 사설시조와의 장르간의 교섭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m 2 슬롯문학(韓國歌辭文學)의 연구(硏究)』(이상보, 형설출판사, 1974)
관련 m 2 슬롯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m 2 슬롯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m 2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