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형미스터 플레이 슬롯(馬形土器)’라고도 한다.
말미스터 플레이 슬롯는 크게 말모양 위주로 만들어진 것과 사람이 말 위에 얹혀 있는 말탄사람미스터 플레이 슬롯의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이는 다시 소형의 비용기적(非容器的)인 토우와, 용기적이면서 공헌용(供獻用)인 미스터 플레이 슬롯로 구분된다. 또한 뿔잔 끝에 말머리가 달린 미스터 플레이 슬롯와 말의 몸이 뿔잔처럼 된 미스터 플레이 슬롯들도 말미스터 플레이 슬롯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이들 말미스터 플레이 슬롯의 여러 유형 중에서 가장 전형적인 것은 사람이 타지 않은 용기적인 성격을 지닌 말미스터 플레이 슬롯이다. 이 미스터 플레이 슬롯들은 현재까지 4점이 알려져 있다. 1점은 현풍지방에서 출토된 것이고 나머지는 낙동강유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진다.
현풍 출토 말미스터 플레이 슬롯는 납작한 네모난 판 위에 네 다리를 벌리고 선 말이 올려져 있다. 몸통에 비해 다리가 짧고 말을 충실하게 표현하려고 했으나 전체적인 조각수법이 치졸하다.
고삐·안장·말띠드리개·꾸미개·발걸이 등의 말갖춤[馬具]이 갖추어져 있고, 몸통에는 점줄무늬가 장식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자연유(自然釉)가 두껍게 덮여 미스터 플레이 슬롯. 또한 말 등의 안장 안에는 사발모양의 그릇이 올려져 미스터 플레이 슬롯.
호암박물관 소장의 말미스터 플레이 슬롯는 굽다리접시 위에 말을 포개놓은 것 같은 형태이다. 네 다리를 약간 구부려 천천히 걷는 모습으로 고들개 등의 가죽띠와 아래·앞·뒤가리개가 있는 안장 등이 얹혀져 있고, 굽다리 형태의 그릇받침이 배를 떠받치고 있다. 이 미스터 플레이 슬롯는 현풍출토의 미스터 플레이 슬롯에 비해 사실적이고 힘차게 조각되어 있다.
이들 말모양만 조각된 전형적인 말미스터 플레이 슬롯 외의 말탄사람미스터 플레이 슬롯 등에서도 각종 말갖춤이 잘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말모양 토우와 말머리가 장식된 뿔잔 중에는 말갖춤이 표현되지 않은 것도 있다.
이러한 여러 종류의 말미스터 플레이 슬롯들은 중국 육조시대의 동물형미스터 플레이 슬롯가 낙동강유역의 말신앙과 합쳐져서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