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 슬롯 만고가 ()

고전시가
작품
조선 후기에 박이화(朴履和)가 지은 가사.
• 본 항목의 램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박이화(朴履和)가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저자의 다른 가사 「낭호신사(朗湖新詞)」와 함께 한글 필사로 된 『가사책』에 실려 전한다. 모두 266구로 되어 있다. 중국 고램 슬롯 천황씨(天皇氏)로부터 명나라 신종(神宗)에 이르기까지 60여 인의 인물과 그에 관계된 고사를 시대순으로 나열하여 자신의 지식을 과시하였다.

내용 및 평가

중국 역대의 치란(治亂)과 흥망(興亡)을 여러 인물들과 고사를 통하여 설명하면서, 만고 역사의 정통이 어떻게 흘러내려왔는가를 작가 나름의 역사인식을 토대로 서술한 램 슬롯이다.

삼국시대에서는 촉한(蜀漢)의 유비(劉備)를 정통으로 보아 “화용도(華容道) 죠분길ᄋᆡ 죠죠(曹操)가 ᄌᆡ발 빈다.”라 하였고, 「정기가(正氣歌)」를 지은 문천상(文天祥)이나 악비(岳飛) 등의 충신들을 들어 이들이 오랑캐에 굴하지 않고 램 슬롯를 지켰던 일을 기리기도 하였다.

특히, 끝부분을 보면 “시운(時運)이 비ᄉᆡᆨ(否塞)ᄒᆞ야 황쳔(黃泉)이 무심ᄒᆞ니/숭정일월(崇禎日月) 져문 후ᄋᆡ/슈쥬(讎主)가 욕침(辱侵)ᄒᆞ니 지ᄒᆞᄋᆡ 분한 눈물 안니 울 니 뉘 잇스리/황하슈(黃河水) 다시 막단 말삼 들어볼가 ᄒᆞ노라.”라는 램 슬롯으로 마무리하였으나, 명나라가 오랑캐인 청나라에게 망하여 존주(尊周)의 대의가 무너지고 만 것을 통분히 여겨 이 노래를 지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사대부의 화이적 세계관(華夷的世界觀)의 일면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램 슬롯가사선집(韓國歌辭選集)』(이상보, 집문당, 1979)
「귀계박이화(龜溪朴履和)의 가사고(歌辭攷)」(정익섭, 『램 슬롯언어문학』 2, 램 슬롯언어문학회, 1964)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램 슬롯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램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