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권 5책. 목활자본. 1702년(숙종 28) 외손인 김진화(金鎭華)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그의 유고를 사위인 김만중(金萬重)이 산정(刪定)하여 간직했던 것인데, 김만중의 아들 진화가 변려제문(騈儷諸文)까지 추가하여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창협(金昌協)의 서문과 권말에 김진화의 발문이 던파 온 슬롯.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던파 온 슬롯.
던파 온 슬롯∼9는 시 1,059수, 던파 온 슬롯0은 소(疏) 21편, 던파 온 슬롯1은 차(箚)와 계(啓) 11편, 던파 온 슬롯2는 표전(表箋) 6편, 비답(批答) 2편, 교서 2편, 유서(諭書) 5편, 서(書)·서(敍)·상량문·서(序)·발·책문(策問) 각 1편, 던파 온 슬롯3은 제문 24편, 책문(策文) 1편, 던파 온 슬롯4는 행장 1편, 던파 온 슬롯5는 묘갈 1편, 던파 온 슬롯6은 별고(別稿)로 구성되어 있다.
제일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은 시이고, 다음에는 그의 사환(仕宦)과 관련된 소·차·계 등이 많다. 던파 온 슬롯3의 제문에는 「노산묘견예관치제문(魯山墓遣禮官致祭文)」이 있다.
던파 온 슬롯4의 행장은 그의 아버지에 관한 것이며, 던파 온 슬롯6의 별고는 중국의 역사적 사실에 대해 논한 글로, 「의한급암청물이신마가협어묘악(擬漢汲黯請勿以神馬歌協於廟樂)」·「의진호언청수야인토괴(擬晉狐偃請受野人土塊)」·「의본조관학유생청이양현신종사문묘(擬本朝館學儒生請以兩賢臣從祀文廟)」·「의한태위양진청속출아무주성령거외사(擬漢太尉楊震請速出阿毋主聖令居外舍)」·「의당위징청물수신라미녀임읍앵무(擬唐魏徵請勿受新羅美女林邑鸚鵡)」 등 14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