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돈 따는 법 동감절요 ()

이도복의 동감절요 중 권수면
이도복의 동감절요 중 권수면
근대사
문헌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도복이 단군조선에서 조선 철종까지를 편년순으로 정리한 역사서.
• 본 항목의 슬롯 머신 돈 따는 법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도복이 단군조선에서 조선 철종까지를 편년순으로 정리한 역사서.
서지적 사항

전 7권 3책. 목활자본. 1930년에 간행하였다.

1923년에 작성한 최영조(崔永祚)의 서문과 1930년에 작성한 박해창(朴海昌)의 발문 및 기기옹(棄棄翁)의 후지(後識)가 있다. 후지에서는 간행과 관련해 의연금을 낸 자와 간행에 조력한 인물들을 기록슬롯 머신 돈 따는 법 있다.

내용

권1은 단군슬롯 머신 돈 따는 법·기자슬롯 머신 돈 따는 법·마한, 권2는 ‘열국지(列國志)’로 서라벌·고구려·백제·가락·탐라, 권 3은 신라(문무왕∼경순왕)·부 발해, 권4는 고려 태조∼명종, 권5는 고려 신종∼공양왕, 권6은 슬롯 머신 돈 따는 법 태조∼광해군, 권7은 슬롯 머신 돈 따는 법 인조∼철종을 수록하였다.

서문 다음에는 <제서고증 諸書考證>을 두어 18종의 인용서목을 적고 있다. 인용서는 관찬사서 뿐만 아니라 사찬사서와 야사·문집류 등을 다양하게 제시슬롯 머신 돈 따는 법 있다.

송병선(宋秉璿)이 편찬한 ≪동감강목 東鑑綱目≫을 이재규(李榟奎)·강환호(姜晥鎬)가 간략히 정리하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에 이도복이 ≪동감강목≫을 근간으로 여러 사서들을 널리 고증해 그 요의(要義)를 추출슬롯 머신 돈 따는 법 상략(詳略)을 절충해 이 책을 편찬한 것이다.

서술체제는 증선지(曾先之)의 ≪십팔사략≫을 모방해 사략(史略) 형식을 취하였다. 내용적으로는 위정척사계열의 정(正)을 지키고 사(邪)를 물리친다는 부정벽사(扶正闢邪) 논리를 바탕으로 정통론과 명분론에 입각한 도덕·유교사관을 유지슬롯 머신 돈 따는 법 있다.

그러나 권2의 상고기 여러 국가들을 ‘열국지’로 명기한 점, 권3 신라조에 발해를 부기한 점 등에서 열국시대를 설정슬롯 머신 돈 따는 법 발해를 중시했던 문화주의사관으로부터 일정한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 외 각 왕의 능호를 두주에 적은 점은 서술상 특징적이다. 규장각·고려대학교도서관·연세대학교도서관·국사편찬위원회·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슬롯 머신 돈 따는 법.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인호(영남대학교, 경제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슬롯 머신 돈 따는 법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슬롯 머신 돈 따는 법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