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꽁 머니 도장무늬토기 ()

녹유항아리
녹유항아리
선사문화
물품
돋을새김 무늬를 새긴 도장[印]을 표면에 찍어 오목새김 무늬로 장식한 토기.
이칭
이칭
인화문토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토기는 돋을새김 무늬를 새긴 슬롯 머신 꽁 머니[印]을 표면에 찍어 오목새김 무늬로 장식한 토기이다. 경주 안압지와 고분, 산성 등에서 출토되었다. 선무늬, 점선무늬, 물결무늬, 원호무늬, 편자무늬, 꽃무늬, 구름무늬, 달개무늬, 물방울무늬 등 다양한 무늬가 새겨졌다.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가 새겨진 그릇 종류도 굽다리사발, 뚜껑, 병, 사발, 바리, 장군, 뼈단지등 다양한 편이다. 특히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가 새겨진 뼈단지는 황갈색이나 황록색 유약을 입힌 시유토기(施釉土器)로 만들어졌다. 일반적으로 중국 당나라 문화의 영향과 함께 불교문화 파급에 의해서 만들어졌다고 추정하고 있다.

목차
정의
돋을새김 무늬를 새긴 도장[印]을 표면에 찍어 오목새김 무늬로 장식한 토기.
내용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印花文] 토기로 일컬어지는 것은 역사시대 이후 등장하지만, 도구로 표면을 눌러 무늬를 새기는 수법은 이미 신석기슬롯 머신 꽁 머니부터 활용되었다. 그 대표적인 것은 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전기를 대표하는 찍은슬롯 머신 꽁 머니인 자돌(刺突) · 압인(押印, 押引)계 토기로, 출토된 곳의 이름을 따서 영선동(瀛仙洞)형 토기라고 불린다. 끝이 뾰족한 도구나 죽관(竹管)상 혹은 반재죽관(半裁竹管)상 도구 등을 이용하여 아가리 부분 쪽에 한정하여 슬롯 머신 꽁 머니를 새긴 것이 특징인데, 표면에 직각으로 눌러 찍은 것이 있는가하면 눌러서 삐치거나 약간 그은 것 등 다양한 형식이 존재한다.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 토기는 통일신라시대부터 등장하여 유행하는데, 선무늬[線文], 점선무늬[點列文], 물결무늬[波狀文], 원호무늬[圓弧文], 편자무늬[馬蹄形文], 꽃무늬[花形文], 구름무늬[雲文], 달개무늬[瓔珞文], 물방울무늬[水滴形文]등 다양한 무늬가 새겨졌다.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가 새겨진 그릇 종류도 굽다리사발[臺附盌], 뚜껑[蓋], 병(甁)류, 사발, 바리[鉢], 장군[橫缶],뼈단지[骨壺]슬롯 머신 꽁 머니양한 편이다.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 토기는신라의 수도인 경주에서 출현하여 백제 복속과 더불어 한강 유역에 이르기까지 분포하였다. 경주 안압지를 비롯하여 여러 고분과 산성 등에서 출토되었는데, 특히 원호무늬, 물방울무늬, 편자무늬, 점선무늬 등이 중심을 이룬다.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 토기가 출현하기 이전에는 비스탬프무늬로 이야기되는 날카로운 도구나 콤파스 등을 이용하여 삼각형무늬나 원호무늬, 물결무늬를 새긴 것이 확인되는데, 이들 무늬를 더욱 용이하게 새기기 위해 스탬프상의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로 변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가 새겨진 뼈단지는 황갈색이나 황록색 유약을 입힌 시유토기(施釉土器)로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 토기의 기원에 대해서는 중국 당나라 문화의 영향과 함께 불교문화 파급에 의해서 만들어졌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또한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 토기가 새겨진 굽다리사발의 출현과 보급이 고구려제 청동사발의 모방에서 시작하여 신라 내부에서 발전하였고, 슬롯 머신 꽁 머니 기법의 출현을 중국 홍주요(洪州窯)의 조업 연대과 관련하여 이해하면서, 7세기 전반 경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고려시대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 토기에는 새로이 덩굴무늬[唐草文]등이 등장하지만, 중국의 음양각 기법 등장으로 점차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 기법은 쇠퇴하였다. 다만 고려청자 상감기법에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 기법이 섞여 사용되었고,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분청사기 무늬 제작에 다시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가 새겨져 성행하였다. 조선시대 분청사기에는 새로이 물고기무늬[魚文], 구름무늬, 번개무늬[雷文] 등이 등장하였고, 슬롯 머신 꽁 머니무늬가 연속적으로 새겨져 표면 전체를 덮는 형태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고대의 토기: 흙·예술·삶과 죽음』(국립중앙박물관, 1997)
『한국의 미』5 토기(한병삼 감수, 중앙일보사, 1981)
「서울·경기지역 성곽 및 고분 슬롯 머신 꽁 머니 신라 인화문토기 연구」(박성남,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통일신라슬롯 머신 꽁 머니 인화문도기 연구」(오가영,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인화문 유개완 연구: 경주지역 슬롯 머신 꽁 머니유물을 중심으로」(이동헌,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인화문도기의 발생과 계보에 대한 시론」(山本孝文,『영남고고학』41, 2007)
「운문이 시문된 통일신라 인화문토기 검토」(이동헌,『불교고고학』5, 2005)
「연당초문 변천과 인화문 발생 시고: 광주도수리 분청사기요지 대접파편을 중심으로」(강경숙,『이대사원』20, 1983)
「新羅印花文陶器硏究における文樣論再考-‘新羅王京樣式’の提唱とその基礎硏究として-」(重見泰,『韓·日交流の考古學』, 嶺南考古學會·九州考古學會 第6會 合同考古學大會, 2006)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슬롯 머신 꽁 머니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슬롯 머신 꽁 머니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