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 플레이 슬롯 도대사 ()

목차
불교
제도
조선시대 승려의 법계(法階) 가운데 교종(敎宗)의 최고 법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미스터 플레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승려의 법계(法階) 가운데 교종(敎宗)의 최고 법계.
내용

세종이 선교양종(禪敎兩宗)으로 이전의 7개 종파를 통합한 뒤 교종의 최고 법계가 되었다. 국가에서 주관한 교종선(敎宗選)에 합격한 자가 중덕(中德)-대덕(大德)-미스터 플레이 슬롯(大師)-도미스터 플레이 슬롯에 이르게 된다. 도미스터 플레이 슬롯는 자동적으로 교종판사(敎宗判事, 判敎宗事)가 되어 교종을 총판(總判)하게 되며, 교종선도 관장하였다.

이 법계는 연산군 때의 정치부재로 한때 없어졌다가 1551년(명종 6) 6월수진(守眞)이 교종의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주지로서 도미스터 플레이 슬롯로 임명됨에 따라 다시 부활되었다. 그러나 1565년문정왕후(文定王后)의 죽음과 더불어 양종이 폐지되면서 도미스터 플레이 슬롯직은 다시 폐지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8도 도총섭직(八道都摠攝職)에 흡수되었다.

참고문헌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미스터 플레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미스터 플레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미스터 플레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