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다이

목차
관련 정보
도
국악
물품
아악의 무무(武舞)에 사용되는 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다이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아악의 무무(武舞)에 사용되는 북.
내용

타원형의 작은북 하나를 긴 나무자루에 꿰뚫어 단 것으로, 나무로 된 북통에 고리를 두개 박고 그 고리에 가죽끈을 달았다.

이 나무자루를 땅에 세우고 왼쪽 오른쪽으로 나무자루 자체를 돌리면 북통 고리에 달린 가죽끈이 북면을 때려 소리가 난다.

작은북이 두개 달린 것을 노도(路鼗), 세 개 달린 것을 뇌도(雷鼗), 네 개 달린 것을 영도(靈鼗)라고 하며, 각각 노고(路鼓)·뇌고(雷鼓)·영고(靈鼓)와 짝을 이룬다.

『고려사』악지에 의하면 무무의 2인이 도를 들었지만 헌가(軒架)에서는 슬롯 다이되지 않았고, 『세종실록』권132 가례(嘉禮) 악기도에 보이지만, 세종조의 회례연(會禮宴) 헌가에는 보이지 않으며, 『악학궤범』 권6 도조에 “북통이 하나인 도는 지금은 쓰지 않는다.”라고 명시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태종 때 가례에 쓰였고 세종 때 벌써 쓰이지 않은 것 같다.

현재 국립국악원에 전하는 도는 『악학궤범』의 제도를 본받아 1930년 경에 새로 제작한 것이다. 도를 슬롯 다이하지 않을 때는 노도나 영도처럼 받침대에 꽂아둔다. 받침대는 나무로 호랑이 두 마리를 엇갈리게 만들어 十자형태로 제작한다.

도의 자루 맨 위에는 기러기모양의 흰 새를 나무로 깎아 꽂았고, 그 밑에는 연꽃을 상징하는 장식을 깎아 꽂았다. 크기는 길이 189㎝, 북면의 지름 14.3㎝, 가죽끈의 길이 22㎝, 새의 길이 23㎝, 새의 너비 22㎝이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국역악학궤범』(민족문화추진회, 1980)
『슬롯 다이악기대관』(장사훈, 슬롯 다이국악학회, 196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다이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다이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다이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