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더 랜드 2 슬롯 머신토기는 융기문토기(隆起文土器)로 부르기도 한다. 서기전 6000~서기전 4500년경 강원특별자치도와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를 아우르는 지역에서 제작 · 사용된 신석기시대 조기(早期)의 토기 중 하나이다. 대부분 남해안에 집중 분포하며, 내륙의 강가에서도 드물게 확인된다. 같은 시기 경상북도 울진군에는 죽변리식(竹邊里式)토기, 강원특별자치도에는 오산리식(鰲山里式)토기가 제작 · 사용되었다.
점토 띠를 그릇 표면에 덧붙인 무늬를 융기선문(隆起線文), 점토 띠 위에 손가락이나 도구로 누르거나 찍어서 효과를 더한 무늬를 융기대문(隆起帶文)이라고 한다. 보통 융선문과 융대문으로 줄여서 부른다. 이외에도 콩알 또는 쌀알 모양의 점토덩이를 붙인 두립문(豆粒文)과 기면을 집어 올려서 덧붙인 효과를 낸 유사융기문(類似隆起文)이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의 일종으로 여겨지고 있다.
과거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토기는 일본이나 러시아 옌하이저우〔沿海州〕 및 중국 송눈평원(松嫩平原) 일대에서 기원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일본 기원설은 1990년대 이후부터 활발해진 국내의 발굴 조사와 주1 결과, 문양의 형식학적인 연구 성과 등에 의해서 부정보더 랜드 2 슬롯 머신다.
한편, 2007년에 이루어진 양양오산리선사유적의 발굴 조사를 통해 강원도 해안 지역 일대의 특징적인 누름무늬토기, 일명 오산리식토기가 남쪽에서 올라온 늦은 시기의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토기보다 연대적으로 앞선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는 동해안 중부 지역의 누름무늬토기가 남해안 지역의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토기와 같은 시기에 성행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북방 기원설 역시 철회되었다.
현재는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토기의 형식과 유적 분포 양상 등을 통해서 동삼동패총을 중심으로 한 남해안 일대를 기원지로 보고 있다.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토기의 편년 연구는 학자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크게 4단계의 변화 과정을 거쳤던 것으로 보고 있다.
1단계는 납작바닥바리모양의 그릇에 손가락으로 찍어 누른 융대문(隆帶文)토기 단계이다. 현재 이 무늬가 가장 오래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토기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단계는 납작바닥바리모양의 그릇에 도구로 찍거나 누른 융대문과 융선문토기들이다.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에 세침선문(細沈線文), 두립문과 같은 다른 무늬가 결합되기도 한다. 직선적인 무늬가 중심이며, 입술 아래와 바닥 위에 수평으로 돌린 점토 띠 사이를 다양한 무늬 패턴으로 채워 넣는 방식이 많다.
3단계는 입술 바로 밑에서 수직 또는 기울여서 점토 띠를 붙이거나 곡선적이고 기하학적인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 등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기존의 납작바닥은 둥근바닥으로 교체되고, 새롭게 독 모양과 단지 모양의 토기들이 만들어진다.
4단계는 퇴화된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인 유사융기문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입술 위에 누름무늬와 점토 띠를 수직으로 붙인 무늬, 산 모양 무늬 등이 많아진다.
현재까지 발굴 조사를 통해서 알려진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토기 사용인들은 해안을 주 생활 무대로 삼았던 해양 수렵 · 어로민들이었다. 가깝게는 북쪽의 오산리식토기와 죽변리식토기 사용인들, 멀게는 일본 큐슈〔九州〕 지역 사람들과 활발하게 교류하였으며, 부산 가덕도 장항유적과 같은 집단 묘역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보더 랜드 2 슬롯 머신토기는 과거 한반도 신석기시대 조기의 유일한 토기라는 지위에서 벗어나게 되었으며, 새롭게 밝혀진 자료들을 통해서 다양한 시각에서의 토기 편년론, 지역성, 물질 교류 및 사회상 등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