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릴 슬롯 대학장구상설 ()

목차
유교
문헌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박문호(朴文鎬)가 『대학』을 해석하여 1921년에 간행한 주석서. 유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5 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박문호(朴文鎬)가 『대학』을 해석하여 1921년에 간행한 주석서. 유학서.
내용

1책. 목활자본. 1921년 보은 풍림정사(楓林精舍)에서 박봉수(朴鳳秀)에 의해 간행되었다. 『논어』·『맹자』·『중용』·『시경』·『서경』·『주역』을 한데 묶은 『칠서집주상설(七書集註詳說)』 중의 한 책이다.

이 책은 남한판본(南漢板本)의 주희(朱熹)의 『대학장구(大學章句)』를 대본으로 하고, 당본(唐本)과 속본(俗本)을 참고해 경문(經文)과 주희의 원주(原註) 사이사이에 중국과 우리나라 역대 선유(先儒)의 학설을 인용해, 해설을 붙5 릴 슬롯.

중국의 학설로는 주희·옥계노씨(玉溪盧氏)·신안진씨(新安陳氏) 등의 것을 주로 인용하5 릴 슬롯. 우리나라의 학설로는 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한원진(韓元震)의 주석을 많이 인용했으며, 이황(李滉)·이간(李柬)의 설도 인용하5 릴 슬롯. 저자의 설은 ‘안설(按說)’로 구분하5 릴 슬롯.

박문호(1846~1918)는 특히 『대학』 서문 가운데 ‘보기궐략(補其闕略)’에 대해 “생략된 것을 보완한 것은 「보망장(補亡章)」이 아니라, 「성의정심장(誠意正心章)」 아래의 주와 「정심장(正心章)」의 주 가운데 ‘경(敬)’자”라고 한 한원진의 학설에 찬동하고, 한원진이 주희의 본뜻을 깊이 터득했다고 칭찬하5 릴 슬롯.

또한, 주희의 업적을 매우 높이 평가하여, 첫째 착간(錯簡)을 바로잡고, 둘째 「격치장(格致章)」을 보완했으며, 셋째 「치성장(致誠章)」의 뜻을 더하고, 넷째 「성정장(誠正章)」을 보완한 공은 증자(曾子)에 못지않다고 하5 릴 슬롯. 특히, 명덕(明德)에 대해서는 ‘심(心)’이나 ‘성(性)’ 중의 어느 하나가 아니라, ‘심성(心性)’을 모두 일컫는 것이며, ‘심’을 주로 말하는 설보다 ‘성’을 중시하는 설이 낫다고 하5 릴 슬롯.

다만, 주희가 ‘명덕’을 해석할 때 ‘성’을 말한 것은 세 글자에 지나지 않은데 비해 ‘심’을 말한 것은 열두 글자나 되는 것은 ‘성’에 대해서는 말로 설명을 붙일 수 없기 때문이라고 변호하5 릴 슬롯. 그리고 ‘명덕’은 ‘심’과 ‘성’을 합쳐 말한 것이므로 정(情)은 그 중에 있다고 주장하여 이이의 설을 지지하5 릴 슬롯.

참고문헌

『5 릴 슬롯(大學)』
『칠서집주상설(七書集註詳說)』
『호산집(壺山集)』
집필자
김용걸(성신여자대학교, 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5 릴 슬롯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5 릴 슬롯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5 릴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