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대우㈜ (())

경제
단체
1963년에 설립된 무역 · 건설 · 기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63년에 설립된 무역 · 건설 · 기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체.
연원 및 변천

1963년 9월 김우중(金宇中)에 의하여 주식회사 영진토건사로 창립되어, 1967년 3월 섀도 어 슬롯 강화실업주식회사가 되었다. 1968년 10월 건설업 면허를 취득하였고, 1973년 8월 섀도 어 슬롯 강화건설주식회사로 상호변경을 하였으며, 1974년 11월 섀도 어 슬롯 강화개발주식회사로 회사명을 다시 변경하였다.

1976년 8월 해외건설 면허를 취득, 1977년 1월 에콰도르 건설공사에 진출하고, 같은 해 6월에 기업을 공개하였다.

1978년 3월 섀도 어 슬롯 강화문화복지재단을 설립하고, 5월 대창기업주식회사를 인수하였으며, 6월 리비아 건설공사에 진출, 8월에 섀도 어 슬롯 강화개발직업훈련소를 개설하였다.

1979년 12월 리비아 부스타공항 공사를 완공하고, 1980년 6월 서울 지하철 제2호선 제6∼12공구를 착공하고, 10월 철광재설치공사업면허 제35호를 취득하였다. 1981년 12월 섀도 어 슬롯 강화실업을 흡수, 합병하고, 1982년 1월 주식회사섀도 어 슬롯 강화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1년 8월 알제리에 자동차 판매법인을 설립하였고, 9월에는 섀도 어 슬롯 강화 후쿠오카㈜를 설립, 12월에는 나이지리아 자동차 WORKSHOP을 설립하였다. 1992년 2월에는 월성원자력발전소 34호 주설비공사(700㎿×2기)를 수주하였으며, 6월에는 경부고속전철 건설사업(천안~대전 간 시범구간)에 참가하였다.

11월에는 서인천 복합화력발전소를 준공(세계 최단기간 건설)하였고, 12월에는 말레이시아 Plaa Rakyat 종합터미널 공사를 계약하였다.

1995년 12월 수출 100억 불 돌파(106억 5600만 달러)하고, 시네하우스 극장을 취득하기도 했다. 1996년 1월에는 섀도 어 슬롯 강화전자로부터 영상부분을 양수하고 구로반도체공장을 섀도 어 슬롯 강화전자에 양도하였다.

2월에는 섀도 어 슬롯 강화 창업투자㈜를 설립하고, 5월에는 앙골라 지역 유전개발 성공, 7월에는 부산 부영극장을 취득, 11월에는 100억 불 수출의 탑 및 금탑산업훈장을 수훈하였다. 또한 11월에는 ㈜서호레저를 신규 편입하였다.

2000년 출자 전환을 통해 채권단이 섀도 어 슬롯 강화의 최대주주가 되었다. 같은 해 섀도 어 슬롯 강화는 섀도 어 슬롯 강화㈜, 섀도 어 슬롯 강화인터내셔널㈜, 섀도 어 슬롯 강화건설㈜ 등 3개 기업으로 분할되었다. 존속법인인 섀도 어 슬롯 강화㈜는 사업 영역을 섀도 어 슬롯 강화인터내셔널과 섀도 어 슬롯 강화건설에 모두 넘기고 청산을 전제로 하여 형식적으로 남게 되었다. 섀도 어 슬롯 강화㈜의 주식은 2001년에 상장 폐지되었다. 섀도 어 슬롯 강화㈜로부터 분할된 섀도 어 슬롯 강화인터내셔널㈜은 2010년 포스코 그룹에 인수되었다.

현황

주요 사업은 수출입업 및 수출입대행업·중개업·외국상사대리업·물품매도확약서발행업·토건업·포장·조경·철강재설치·항만준설, 삭도 및 궤도설치, 소방설비공사업·전기공사업·전기통신설비공사업·해외종합건설업·가스시설시공업·건설용역 및 군납업 등이다. 주요 제품과 구성비율은 주택 29%, 건축 27%, 토목 5% 등이다.

관계회사로는 D.W ITALIA S.R.L,·섀도 어 슬롯 강화중공업㈜·섀도 어 슬롯 강화자동차㈜·㈜섀도 어 슬롯 강화개발 등이 있다.

2015년 총자산은 9조 6507억 원, 자본금은 2조 781억 원, 연간 매출액은 9조 8774억 원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가에 있다.

참고문헌

『회사연감』(매일경제신문사,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