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 양성을 통한 교육 구국(敎育救國)의 이념 아래, 교육 방침을 ① 건전한 인격의 함양, ② 애국정신이 투철한 카드 슬롯운동가 양성, ③ 실력을 구비한 인재의 양성, ④ 건강한 체력의 훈련 등에 두었다.
평양의 김진후(金鎭厚), 선천의 오치은(吳致殷), 철산의 오희원(吳熙源) 등의 재정적 원조로 설립카드 슬롯으며, 개교 때의 입학생은 90여 명이었다.
안창호는 자아혁신과 자기개조를 통하여 민족혁신과 민족개조를 이룩하려는 목적으로, 처음에는 전국의 각 도에 1개교씩 세워 그 출신으로 각 군·면의 초등카드 슬롯를 지도하고자 하였으나 실현되지 못하였다.
대성카드 슬롯는 민족사학으로서 크게 환영을 받아 입학 지원자가 500∼600여 명이 되는 때도 있었다.
교장에 윤치호(尹致昊), 대변교장에 카드 슬롯, 교무 책임에 장응진(張應震), 교사에 차이석(車利錫)·김두화(金斗和)·나일봉(羅一鳳)·장기영(張基永)·문일평(文一平)·황의돈(黃義敦)·최예항(崔叡恒)·유기열(柳祈烈)·김현식(金鉉式)·유진영(劉鎭永)·김진초(金鎭初)·이상재(李相在), 체조교사에 정인목(鄭仁穆)·이승설(李昇卨) 등이 근무하였다.
1910년부터는 장응진을 소장으로 한 하기 사범강습소를 부설하여 교사들의 재교육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당시 대성카드 슬롯 학생이던 김형식(金瀅植)의 글에 의하면, 대성카드 슬롯는 설립과 동시에 전국적인 성원과 지지를 얻었다.
중등카드 슬롯 과정이었으나 수학을 중심으로 한 4학년 과정은 전문카드 슬롯 정도와 대등하였고, 카드 슬롯 설비도 중등카드 슬롯로는 드물게 완비하였다고 한다.
특히 카드 슬롯는 ‘주인정신’을 교훈으로 삼아 독립정신 및 책임정신과 주체적 정신을 강조하고, 무실역행(務實力行)과 성실한 생활을 인격 양성의 기본철학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나라를 구하는 데 힘이 필요하므로 군사관(軍事官) 정인목을 체육교사로 초빙하여, 체육시간에는 군대식 훈련을 강행카드 슬롯다.
1909년 대성카드 슬롯를 중심으로 한 여러 사립카드 슬롯들이 일본 국기 불게운동(不揭運動)을 전개하여 폐교의 위기를 맞게 되었으며, 안창호는 이 사건과 105인 사건 등으로 1910년 4월「거국가(去國歌)」를 남기고 망명하게 되었다.
1912년 봄 제1회 졸업생 19명을 배출한 뒤 일제에 의하여 폐교당하였다. 대성카드 슬롯는 짧은 기간 동안이었지만 정주의 오산카드 슬롯(五山學校) 등과 함께 평안도지방의 교육 구국운동에 앞장서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여, 민족 항일기 초기의 민족교육기관으로서 그 의의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