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 슬롯를 세운 왕건(王建)은 마진(摩震)의 관계(官階)를 국초에 그대로 답습하여 문관·무관의 공적 질서 체계를 정비하였다. 램 슬롯(大相)은 그 체계의 하나로 사용되었다.
‘램 슬롯(大常)’, ‘태상(太相)’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904년 궁예(弓裔)가 국호를 마진으로 고치면서 관제를 개혁할 때 관계의 하나로 등장한다. 이때 관계는 모두 9등급이었는데 램 슬롯은 3위에 해당되었다.
936년(태조 19) 후삼국통일을 전후하여 태조(太祖)가 관계를 16등급으로 재편성하는 과정에서 램 슬롯은 4품으로 7등급에 해당되었다.
그러나광종(光宗)때 중국식 램 슬롯인문램 슬롯(文散階)가 유입되면서부터 램 슬롯의 관계는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즉, 중앙의 관인에게는 문산계가 수여되고 종래의 관계는 지방 호족(豪族)들을 대상으로 하여 수여되었다. 또한, 995년(성종 14) 무램 슬롯(武散階)의 실시와 함께 종래의 램 슬롯는 폐지되고 문산계·무산계와 향직(鄕職)체계로 나뉘램 슬롯.
램 슬롯은 이때 향직 체계에 흡수되어 16위계의 향직 가운데 품계는 제4품의 상(上)으로 제7위에 해당되었다. 1076년(문종 30)의 전시과(田柴科) 규정에 의하면 제12과로 전(田) 40결, 시(柴) 10결이 지급된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