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 의 슬롯 머신 대방광원각약소주경 ()

불교
문헌
당나라 승려 종밀(780~841)이 저술한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의 주석서.
이칭
이칭
원각경약소주(圓覺經略疏注), 대방광원각수다나요의경약소주(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疏注)
문헌/고서
편찬 시기
고려시대
간행 시기
고려 말
저자
종밀
권책수
상하 각2권(4권)
판본
목판본
소장처
대한불교천태종 관문사, 대한불교천태종 구인사, 국립중앙박물관, 호림박물관, 삼성미술관 리움, 재단법인 현담문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방광슈 의 슬롯 머신약소주경(大方廣圓覺略疏注經)』은 당나라 승려 종밀(780~841)이 저술한 『대방광슈 의 슬롯 머신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의 주석서이다. 종밀이 해석한 『슈 의 슬롯 머신경』에 대한 요점이 정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읽혔다.

키워드
정의
당나라 승려 종밀(780~841)이 저술한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의 주석서.
개요

당나라 종밀(宗密,주1이 쓴 『대방광슈 의 슬롯 머신약소주경(大方廣圓覺略疏注經)』은 『대방광슈 의 슬롯 머신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에 대해 쓴 주석서이다. 상, 하 각 2권(총 4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

『대방광슈 의 슬롯 머신수다라요의경』은 줄여서 『슈 의 슬롯 머신경(圓覺經)』[^9]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슈 의 슬롯 머신(圓覺)사상을 풀어서 이야기하는 『슈 의 슬롯 머신경』은 중국에서 지은 경전으로, 특히 화엄종(華嚴宗)선종(禪宗)에서 널리 받아들였다. 이 경은 고려의 지눌(知訥)이 깊이 신봉하여주2이라 한 뒤 우리나라에서 널리 유통되었다. 조선 초기 함허 화상(涵虛和尙, 13761433)이『슈 의 슬롯 머신경소(圓覺經疏)』3권을 짓고,유일(有一, 17201799)과 의첨(義沾, 1746~1796)이 각각 사기(私記)를 지은 뒤에 『슈 의 슬롯 머신경』은 우리나라 승려의 정식 교과목으로 채택되었다.

『슈 의 슬롯 머신경』이 유포된 배경 및 관련 연구에서 종밀의 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슈 의 슬롯 머신경』을 중시한 종밀은 슈 의 슬롯 머신사상을 다룬 많은 주석서를 지었는데, 그중 『대방광슈 의 슬롯 머신약소주경(大方廣圓覺略疏注經)』은 『슈 의 슬롯 머신경대소(圓覺經大疏)』와 『슈 의 슬롯 머신경대소초(圓覺經大疏鈔)』의 요점을 뽑아 정리한 것이다. 이외에도 『슈 의 슬롯 머신경약소초(圓覺經略疏鈔)』, 『슈 의 슬롯 머신경도량수증의(圓覺經道場修證儀)』, 『슈 의 슬롯 머신경찬요(圓覺經纂要)』(실전) 등도 모두 종밀이 지은 『슈 의 슬롯 머신경』의 주석서이다.

종밀은 이들 주석서에서 화엄사상대승기신론, 선사상 등 당대의 주류 사상들을 '슈 의 슬롯 머신(圓覺)'이라는 중심축을 통해 결합시키고 조직하였다. 후대의 『슈 의 슬롯 머신경』 연구 또한 기본적으로 종밀의 해석을 따르고 있다.

서지적 사항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대방광슈 의 슬롯 머신약소주경』의 판본은 이하의 것들이 있다.

(1) 보물 제893호(권상(卷上)) · 보물 제938호(권상지이(卷上之二))은 2권 2책으로 목판본(木版本)슈 의 슬롯 머신.간기(刊記)가 없어 정확한 간행 사실을 알 수는 없으나, 보물 제891호로 지정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와 판식(板式)과 자체(字體) 등이 비슷하고, 주6의 특징을 지니고 있어 송판본(宋板本) 『대방광슈 의 슬롯 머신약소주경』을 입수하여 새긴 고려시대의 판본임을 알 수 있다.

이 판본은 권하가 결락되었으나, 송판본을 번각한 고려시대의 목판본으로서 가치가 있다. 보물 제893호는 재단법인 현담문고(구 아단문고)에, 보물 제938호는 삼성미술관 리움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2) 보물 제963호(권하(卷下)) · 보물 제1016호(권상지이(卷上之二)) · 보물 제1080호(권상(卷上))은 3권 3책, 목판본으로 보물 제893호 · 보물 제938호와 동일한 판본슈 의 슬롯 머신. 송판본을 번각한 주8계열(續藏系列)의 판본으로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에 인출한 것슈 의 슬롯 머신.

보물 제963호는 대한불교천태종 관문사에, 보물 제1016호는 대한불교천태종 구인사에, 보물 제1080호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3) 보물 제1171호(권하지이(卷下之二))은 1권 1책의 목판본으로 주7으로 제본되어 있다. 송판의 번각본으로 이미 지정된 보물 제893호((권상일(卷上一)) · 보물 제938호(권상이(卷上二)) · 보물 제958호(권상이(卷上二)) · 보물 제963호(권하일(卷下一)) · 보물 제1016호(권상이((卷上二)) · 보물 제1080호(권상일((卷上一))와 비교하여 보면, 판수제(板首題) 표시가 지정된 것은 ‘상2(上二)’슈 의 슬롯 머신. 또한 다른 판본에는 한 장의 항수가 20항으로 되어 있는데 비해, 이것은 ‘방4 · 2(方四二)’와 한 장의 항수가 25항으로 되어 있는 점 등 주10이 다르다.

그러나 이 판본의 전체적인 체제가 속장의 체제이고 송판 번각판임이 틀림없으며, 판각 시기를 고려 말로 추정하는 데는 무리가 없다. 인출된 시기는 표지와 장정 등으로 보아 조선 초기에 인출된 고려판의 후쇄로 추정된다. 특히 이 판본은 드물게 보이는 호접장본(蝴蝶裝本)이며, 권하지이(卷下之二)가 등장하므로 속장 계열의 『슈 의 슬롯 머신경소』는 이로써 완질이 갖추어지게 되었다. 호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정우영,『역주 슈 의 슬롯 머신경언해』(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6)
탄현, 『(四敎科)슈 의 슬롯 머신經』(那迦院, 2012)
『동산문화재지정보고서(動産文化財指定報告書)-1988·1989·1991-』(문화재관리국, 1989·1990·1992)

논문

김미경·강순애, 「『슈 의 슬롯 머신經』 版本의 系統과 書誌的 特徵에 관한 硏究」(『서지학연구』 46, 2010)
조윤호, 「종밀의 『슈 의 슬롯 머신경』 해석에 보이는 제 사상의 수용」(『범한철학』 45, 2007)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중국 당나라의 승려(780~840). 화엄종의 제5조로 규봉 대사(圭峯大師)라 칭하였다. 교선 일치(敎禪一致)의 입장을 취하였으며, 저서에 ≪원인론(原人論)≫, ≪슈 의 슬롯 머신경소(圓覺經疏)≫, ≪우란분경소(盂蘭盆經疏)≫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

불법의 도리를 명백하고 완전하게 말한 경전. 우리말샘

주6

한 번 새긴 책판을 본보기로 삼아 그 내용을 다시 새김. 우리말샘

주7

서적 꾸밈새의 하나. 책장의 인쇄된 면이 안쪽으로 오도록 가운데에서 반대로 접고 그 접은 판심의 바깥쪽에 풀칠하여, 한 장의 표지를 가운데에서 둘로 접은 책등 안쪽에 붙인다. 한 장씩 펼치면 나비가 나는 것 같다고 하여 붙인 이름슈 의 슬롯 머신. 우리말샘

주8

신문처럼 여러 겹으로 포개어 접힌 종이에서 겉의 종이 안에 있는 각각의 종이. 우리말샘

주9

석가모니가 십이 보살(十二菩薩)과의 문답을 통하여 대슈 의 슬롯 머신(大圓覺)의 묘리(妙理)와 관행(觀行)을 밝힌 경전. 우리말샘

주10

판본의 양식. 광곽(匡郭), 행격(行格), 판심(版心) 따위와 같은 판 전체의 짜임새와 그 형태적인 특징을 이르는 말슈 의 슬롯 머신.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