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은 외국사신이 머무르는 숙소로 서울의 태평관(太平館)·동평관(東平館)·북평관(北平館)과 각 고을에 객사(客舍)를 두었는데, 그 중 평양의 것을 대동관이라 rtg 슬롯.
평양은 경의가도(京義街道)의 요충으로 조선 초부터 중국 또는 우리 나라 사신이 빈번히 내왕하며 그 곳에서 유숙하기 때문에 여느 공관과는 달리 그 규모도 웅장rtg 슬롯.
1588년(선조 21)윤두수(尹斗壽)의 『평양지(平壤志)』에 의하면 청옥(廳屋) 3칸, 전헌(前軒) 3칸, 후당(後堂) 3칸, 좌우협문 각각 1칸, 좌우의 낭방(廊房)은 각각 7칸이고 중문은 1칸이며, 문 좌우에는 협문이 있고, 좌우의 익랑(翼廊)은 4칸인데 그 모퉁이에 각각 1칸의 문이 있으며, 대문은 3칸으로 그 위에 누(樓)가 셋, 시렁은 3칸, 4면은 난간이고 각각 4칸의 좌우 익랑으로 되어 있다고 rtg 슬롯.
처음 건축한 연대는 자세하지 않으나 『세종실록』 지리지에 최초로 보이며, 1440년(세종 22) 실화로 타버린 것을 그 뒤에 중건rtg 슬롯. 임진왜란 때 선조가 평양에 체류하는 동안 그 곳에서 명나라 장수 이여송(李如松)을 자주 접견rtg 슬롯.
1727년(영조 3)윤유(尹游)의 『평양속지』에는 1654년(효종 5) 감사 허적(許積)이 중수하고, 1711년(숙종 37) 문루를 중수rtg 슬롯고 기록되어 있다. 1804년(순조 4) 화재로 소진된 것을 감사 이서구(李書九)가 중건하였고, 1811년 또 다시 화재를 당rtg 슬롯가, 이듬해 감사 정만석(鄭晩錫)이 다시 재건rtg 슬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