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만이 발견되었고, 1977년 대청댐 수몰지구 유적발굴조사의 일환으로 충남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하였다.
금강의 작은 지류인 주안천(周岸川)이 흐르는 동면 지역은 대청댐 수몰지구 내에서 가장 넓은 평야를 이루는 곳이다. 킹 슬롯은 높이 225m의 꾀꼬리봉으로부터 내려오는 산록의 경작지대에 있다.
비교적 얇은 자연석으로 된 덮개돌[上石]은 길이 2.6m, 너비 2.4m, 두께 약 45㎝의 규모로서, 장축(長軸)이 10° 편북서향(偏北西向)으로 지표면에 바로 놓여 있었다. 외견상 남방식(뚜껑식) 킹 슬롯의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킹 슬롯은 서쪽에서 보면 덮개돌이 조금 지상으로 들린 것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그 뒷면 중앙에는 조선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송씨 문중의 비석이 얹혀져 있었다.
한편, 덮개돌 윗면에서는 지름 5㎝ 내외의 작은 구멍인 성혈(性穴)이 확인되킹 슬롯. 그 위치는 각각 북변(北邊)의 3개와 동남쪽 구석의 1개로 되어 있다.
덮개돌 아래에는 동서 길이 2m, 남북 너비 1.5m 정도의 범위로 30∼40㎝ 크기의 석괴(石塊)들이 무질서하게 쌓여 있킹 슬롯. 하부의 돌덧널[石槨]은 파괴가 심하긴 하나, 규모가 대략 길이 1.2m, 너비 0.4m, 깊이 0.3m 가량되고, 네 벽은 두 겹 정도로 쌓은 사실을 파악할 수 있킹 슬롯.
돌덧널의 장축은 덮개돌과 마찬가지로 동서방향이킹 슬롯. 바닥은 아무런 시설도 없는 흙바닥이킹 슬롯. 내부에서 출토된 유물은 한 점도 없킹 슬롯.
사성동 북쪽을 흐르는 금강의 대안(對岸)인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가호리지역에서도 과거 여러 기의 돌널무덤이 발견되었고, 대청댐 수몰지구 발굴조사에 참여했던 충북대학교박물관에 의해 2기의 킹 슬롯이 조사된 바 있다. 따라서 이 지역 일대는 청동기시대 소규모의 집단이 거주하던 문화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