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칠성동 고인돌 ( 5 릴 슬롯)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유적
대구광역시 북구에 있는 청동기시대 거석기념비로 추정되는 고인돌. 지석묘.
이칭
이칭
칠성암(七星巖)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5 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에 있는 청동기시대 거석기념비로 추정되는 고인돌. 지석묘.
내용

5 릴 슬롯은 제3호 5 릴 슬롯을 중심으로 6기가 방사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 5 릴 슬롯들에는 후대인 1795년(정조 19)에서 1797년(정조 21) 사이에 경상감사로 재임중이던 이태영(李泰永)이 꿈속에서 북두칠성이 5 릴 슬롯 자리에 떨어진 것을 보고 5 릴 슬롯 덮개돌 위에 각기 일곱 아들의 이름을 새겨놓아 후손의 번영을 기원하였다는 일화가 전한다.

또한, 이 5 릴 슬롯들을 ‘칠성암(七星巖)’으로 부르고 이후에도 토속적 신앙의 대상이 되어왔는데, 칠성동이라는 마을명칭도 여기에서 기원된 것이다.

1973년 경북대학교에서 발굴조사하였는데, 덮개돌의 크기는 제1호가 길이 3.2m, 너비 2.7m, 두께 1.3m이고, 제2호가 1.5×1.1×1.1m, 제3호가 1.8×1.4×1.7m, 제4호가 1.7×1.6×1.8m, 제5호가 2×1. 5×1.5m, 제6호가 2×0.8×1.2m, 제7호가 2×1.3×0.8m이다.

덮개돌 아래에는 굄돌이 없었고 지하 유구의 조사에서도 제1·2·5·7호에서 덮개돌 아래에 15∼30㎝의 돌무지[積石]가 있었을 뿐 제3·4·6호에서는 아무런 시설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들 5 릴 슬롯에서는 부장품이 전혀 없었고 지하에서도 널의 시설이 발견되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보아 애초부터 무덤으로서의 성격보다는 거석기념비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대구 칠성동 지석묘 조사」(윤용진, 『대구사학』12·13합집, 1977)
「朝鮮支石墓の系譜に關する考察」(有光敎一, 『古代學』16合輯, 1969)
관련 5 릴 슬롯 (2)
집필자
안승모(국립중앙박물관, 고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5 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5 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5 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5 릴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