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플 슬롯 제주 당처물동굴 (당처물)

자연지리
지명
국가유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에 있는 용암 동굴.
지명/자연지명
높이
0.3~2.7m
길이
110m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제주 당처물트리플 슬롯(濟州 당처물洞窟)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지구과학기념물/천연트리플 슬롯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천연기념물(1996년 12월 30일 지정)
소재지
제주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 1457외 4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제주 당처물트리플 슬롯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에 있는 용암 트리플 슬롯이다. 길이 110m, 폭 5.5∼18.4m, 높이 0.3∼2.7m의 소형 트리플 슬롯이다. 용암류가 유동하면서 만들어진 용암 트리플 슬롯이나 트리플 슬롯 지상에 분포하는 패사층으로 인해 빗물에 용해된 탄산염이 트리플 슬롯 내부에서 침전되어 다양한 석회질 트리플 슬롯 생성물이 발달하였다. 당처물트리플 슬롯은 용암 트리플 슬롯과 석회 트리플 슬롯의 특성을 모두 보이는 독특한 사례로 1996년 천연기념물 제384호로 지정되었고, 2007년 세계 자연유산으로 등재된 거문오름 용암트리플 슬롯계에 속하는 트리플 슬롯이다.

키워드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에 있는 용암 동굴.
개설

1996년천연기념물 제384호로 지정된 비공개 트리플 슬롯이다. 길이 110m, 폭 5.5∼18.4m, 높이 0.3∼2.7m의 소형 트리플 슬롯로 내부는 사다리꼴 또는 방패 모양의 횡단면을 보인다. 1994년 트리플 슬롯 지상의 사구 지대에서 경작지를 정비하는 중에 트리플 슬롯 측벽이 무너지면서 입굴이 가능해졌다.

형성 및 변천

당처물트리플 슬롯은 용암류가 주1 과정에서 용암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에 의해 만들어진 전형적인 용암 트리플 슬롯이다. 그러나 트리플 슬롯 지상에 분포하는 사구 지대의 패사층을 통과한 빗물이 트리플 슬롯 내부로 스며들면서 석회질 트리플 슬롯 생성물인 주2을 만들어 석회 트리플 슬롯과 같은 경관이 나타나는 독특한 트리플 슬롯이다. 인근에 위치한 용천트리플 슬롯과 더불어 의사 카르스트(pseudo-karst)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 트리플 슬롯로, 용암 트리플 슬롯 생성물인 용암 종유석, 용암 곡석, 용암 선반, 밧줄 구조와 탄산염 성분의 트리플 슬롯 생성물인 종유관, 주3, 주4, 석주, 트리플 슬롯 산호, 트리플 슬롯 진주를 동시에 볼 수 있다. 용암 트리플 슬롯은 보통 트리플 슬롯이 만들어진 직후부터 천장과 벽면의 주5, 붕괴를 통해 파괴되어 가는 지형이지만 당처물트리플 슬롯은 빗물에 용해된 패사의 탄산염이 트리플 슬롯 내부에서 다시 침전되는 의사 주6 현상으로 인해 계속 성장하고 있는 트리플 슬롯이다.

현황

트리플 슬롯 입구는 외부와의 차단을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판 덮개로 밀폐되어 있다. 입구로부터 10m, 20m, 40m 지점에 낙반에 의한 지형 훼손이 보이나 천장의 낙반 현상은 비교적 적은 편이다. 제주도는 2007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트리플 슬롯'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 주7에 등재되었는데, 당처물트리플 슬롯은 만장굴, 김녕굴, 주8 등과 함께 세계 자연유산을 구성하고 있는 주9 용암트리플 슬롯계에 포함되어 있다. 2009년에는 지구 물리 탐사와 시추 조사를 통해 인근에서 길이 180m의 남지미트리플 슬롯이 발견되었다. 당처물트리플 슬롯과 남지미트리플 슬롯은 양끝이 트리플 슬롯 생성물로 막혀 진입할 수 없을 뿐 서로 연결된 하나의 트리플 슬롯로 밝혀져 남지미트리플 슬롯을 당처물트리플 슬롯 II라고도 부른다.

참고문헌

단행본

『제주도의 천연트리플 슬롯』 (손인석, 2005)
『제주도 용암트리플 슬롯 들여다보기』 (김범훈, 2009)

인터넷 자료

세계자연유산 제주(jeju.go.kr/jejuwnh/index.htm)
주석
주1

액체 상태의 물질이나 전류 따위가 흘러 움직이다. 우리말샘

주2

석회 트리플 슬롯 안에서 탄산 칼슘이나 방해석이 녹아 있는 지하수가 트리플 슬롯 천정에서 떨어지거나 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바닥에 가라앉거나 쌓이면서 형성된 이차적인 지형.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주3

종유굴의 천장에 고드름같이 달려 있는 석회석. 지하수에 녹아 있던 석회분이 수분의 증발과 함께 다시 결정으로 되면서 생긴다. 우리말샘

주4

종유굴 안의 천장에 있는 종유석에서 떨어진 탄산 칼슘의 용액이 물과 이산화 탄소의 증발로 굳어 죽순(竹筍) 모양으로 이루어진 돌 기물. 우리말샘

주5

광산 따위의 갱내에서, 천장이나 벽의 암석이 떨어짐. 또는 그 암석. 우리말샘

주6

크로아티아 서북부의 이스트리아반도 북쪽에 있는 지방. 석회암층으로 이루어진 지형으로, 카르스트 지형은 이 지방에서 유래한 말이다. 돌리네, 종유굴 따위의 경관이 풍부하다. 우리말샘

주7

유네스코가 인류의 미래를 위해 보호해야 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여 지정ㆍ등재하는 자연 지역. 1972년 총회에서 채택된 ‘세계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 보호 협약’에 따라 정해진다. 우리나라의 제주 화산섬과 용암 트리플 슬롯 등이 등재되어 있다. 우리말샘

주8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에 있는 트리플 슬롯. 용암 트리플 슬롯로, 내부에 종유석ㆍ종유관ㆍ석순 따위의 트리플 슬롯 생성물과 대규모의 트리플 슬롯 호수가 분포한다. 2007년에 세계 자연유산으로도 등재되었다.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천연기념물 정식 명칭은 ‘제주 용천 트리플 슬롯’이다. 길이는 3,600미터. 우리말샘

주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에 있는 기생 화산. ‘김녕굴’과 ‘만장굴’을 비롯한 수많은 용암 트리플 슬롯이 집중적으로 분포해 있으며, 2007년에 세계 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천연기념물 정식 명칭은 ‘제주 선흘리 거문오름’이다. 높이는 456.6미터.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