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아 캐릭터 슬롯 달구지

목차
관련 정보
달구지
달구지
산업
물품
말이나 소가 끄는 수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로아 캐릭터 슬롯는 말이나 소가 끄는 수레이다. 소가 끌면 우차, 말이 끌면 마차라고 부른다. 바퀴 수가 두 개인 로아 캐릭터 슬롯는 북한 지방에서 썼고, 바퀴 수가 네 개인 로아 캐릭터 슬롯는 중부 평야 지대에서 많이 썼다. 보통 도회지에서 짐을 나르는 경우는 말을, 농가에서 곡식 따위를 운반할 때는 소를 이용했다. 로아 캐릭터 슬롯 바퀴는 모두 목재이며, 바퀴를 보호하는 텟쇠를 둘러서 보강한다. 근대에 와서는 바퀴로 나무 대신 자동차 타이어를 썼다. 곡식 가마니를 비롯해 여러 종류의 짐을 운반한다. 지금은 차나 경운기 등으로 대체되어 로아 캐릭터 슬롯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목차
정의
말이나 소가 끄는 수레.
내용

본디 이름은 로아 캐릭터 슬롯이지만, 가 끌면 ‘우차(牛車)’, 이 끌면 ‘마차(馬車)’라고 부르며, 소가 끌어도 ‘마차’라고 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로아 캐릭터 슬롯는 바퀴 수가 두 개와 네 개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앞의 것은 북한지방에서, 그리고 뒤의 것은 중부 이남의 평야지대에서 많이 썼다.

두 바퀴 로아 캐릭터 슬롯는 반드시 소가 끌었으며, 소 등에 길마를 얹지 않고 쳇대를 길게 하여 소의 등에 걸어 둔다. 그리고 쳇대가 등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양쪽에서 목 앞으로 끈을 둘러 감았다. 이처럼 길마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험한 길에서 로아 캐릭터 슬롯가 넘어지거나 언덕으로 굴러떨어질 때 소나 말이 다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또 이 지역 로아 캐릭터 슬롯 바퀴는 다른 지역의 것에 비하여 매우 큰 편인데, 이렇게 해야만 상틀이 높아져서(지상에서부터의 높이는 5자) 바닥이 바위나 돌 등에 닿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네 바퀴 로아 캐릭터 슬롯는 마소가 함께 끌었으나, 주1에서 짐을 나르는 경우는 말을, 농가에서 곡식 따위를 운반할 때는 소를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것은 앞로아 캐릭터 슬롯가 뒷로아 캐릭터 슬롯보다 작으며 거덜이가 장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로 움직여서 방향을 잡는다.

로아 캐릭터 슬롯 바퀴는 모두 목재이며, 텟쇠를 둘러서 보강한다. 한때는 나무 바퀴 대신 자동차 타이어를 쓰는 일이 많았다. 로아 캐릭터 슬롯로는 곡식 가마니를 비롯하여 잔 모래에 이르기까지 여러 종류의 짐을 운반한다. 예전에는 도회지에서도 대부분의 짐을 로아 캐릭터 슬롯를 이용하여 운반했으며 중소도시에서 흙 · 모래 · 시멘트 등의 건축자재를 운반하는 데 사용하였다. 지금은 차나 경운기 등으로 대체되어 찾아보기가 어렵다. 한 틀의 무게는 1,500∼2,000㎏이다.

로아 캐릭터 슬롯에는 다음과 같은 부분 명칭이 있다.

① 쳇대:전주에서는 ‘체장’이라고 한다. 로아 캐릭터 슬롯를 마소의 등에 연결하는 두 개의 긴 막대기로 한 끝은 로아 캐릭터 슬롯 앞쪽에 달려 있다. 길이는 6자이다.

② 쳇대고리:쳇대를 마소의 길마에 걸어 주는 작은 쇠고리.

③ 사장:로아 캐릭터 슬롯의 몸을 이루는 세로로 댄 긴 널쪽.

④ 쇠장:사장을 받치면서 동시에 좌우 양 틀을 고정시키는 각목재. 몸체에 가로로 놓인다.

⑤ 갈고리:짐을 잡아맨 끈을 걸어 두기 위해 장틀에 붙여 놓은 아귀진 쇠붙이.

⑥ 텟쇠:로아 캐릭터 슬롯를 보호하기 위하여 둘러 놓은 쇠. 철판을 구부려서 둥글게 만들고 양쪽을 이어서 로아 캐릭터 슬롯에 씌우는데, 이 과정은 매우 복잡하다.

⑦ 빗등:로아 캐릭터 슬롯의 테를 이루는 목재. 이것은 반드시 단단한 괴목으로 하는데, 뒷로아 캐릭터 슬롯는 7개, 앞로아 캐릭터 슬롯는 6개로 이루어진다. 이를 ‘어리빗등(전주)’이라고도 한다.

⑧ 살:로아 캐릭터 슬롯의 테를 유지하기 위하여 빗등과 장구통 사이에 끼운 나무. 이것은 참나무로 만드는데 뒷로아 캐릭터 슬롯에는 14개를, 앞로아 캐릭터 슬롯에는 12개를 붙인다.

⑨ 장구통:전주에서는 ‘수박통’이라고도 한다. 중앙에 구멍이 뚫린 수박만한 나무통으로 로아 캐릭터 슬롯의 살이 모두 여기에 꽂히며 구멍에는 중심축이 걸려서 상틀을 로아 캐릭터 슬롯에 고정시키는 구실을 한다. 장구통은 괴목으로 만든다.

⑩ 간철:장구통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구통 안팎으로 둘러 놓은 쇠. ‘탱갱이쇠’라고도 한다.

⑪ 들보:두 개의 뒷로아 캐릭터 슬롯 사이에 끼어 있어서 상틀과 하장을 로아 캐릭터 슬롯에 고정시키는 네모진 쇠몽둥이. 한 면의 두께가 앞로아 캐릭터 슬롯의 것은 한 치이며 뒷로아 캐릭터 슬롯의 것은 1치2푼 내지 1치4푼이다.

⑫ 메뚜기쇠:들보가 수박통에서 빠져 나가지 않도록 구멍에 꽂는 쇠이다.

⑬ 맷돌:‘맷돌쇠’라고도 한다. 맷돌은 앞로아 캐릭터 슬롯의 상부와 하장 사이에 달려서 앞로아 캐릭터 슬롯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둥근 쇠로, 지름은 1자3치이다. 네 곳에 둥근 구멍이 뚫리고 이에 방망이쇠를 꽂아서 위아래 짝이 고정된다.

⑭ 거덜이 판자:하장과 쳇대를 연결시켜 주는 쇠붙이.

⑮ 상틀:로아 캐릭터 슬롯의 몸으로 이곳에 짐을 싣는다. 참나무로 만든다.

이밖에도 다음과 같은 부분 명칭이 있다.

하장:앞바퀴의 들보 위에 붙은 판. 로아 캐릭터 슬롯 앞쪽의 무게가 여기에 실린다.

뻗침발:하장과 들보 사이에 끼어 있는 가위 다리모양으로 굽은 쇠. 이것이 스프링과 같은 구실을 하여 앞로아 캐릭터 슬롯에 전달되는 충격을 조절한다.

장틀:로아 캐릭터 슬롯 양편에 대는 좁고 긴 널. 로아 캐릭터 슬롯 한 틀을 제작하는 데는 목수 한 사람 품으로 열흘쯤 걸리며, 소요되는 목재는 두 발 로아 캐릭터 슬롯가 60새, 네 발 로아 캐릭터 슬롯는 80새이다.

로아 캐릭터 슬롯 : 큰 로아 캐릭터 슬롯의 지름은 3자1치5푼이며 텟쇠의 두께를 합치면 3자2치가 된다. 작은 로아 캐릭터 슬롯의 지름은 2자가웃이다. 로아 캐릭터 슬롯의 너비는 작은 로아 캐릭터 슬롯가 2치5푼, 뒷로아 캐릭터 슬롯가 4치이며, 3치나 2치5푼짜리도 있다.

참고문헌

『한국농기구고』(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36)
주석
주1

사람이 많이 살고 상공업이 발달한 번잡한 지역.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