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이지 슬롯 먹튀니는 1900년대 초에 일본에서 들어왔으며, ‘크레이지 슬롯 먹튀니’라는 이름도 일본말 ‘크레이지 슬롯 먹튀스(かます)’에서 비롯되었다. 1909년 조선통감부 『제3차 한국시정연보(韓國施政年報)』에 따르면, 1908년에 새끼틀 19대, 보통 크레이지 슬롯 먹튀니틀〔普通製筵器〕 495대, 마키노식 크레이지 슬롯 먹튀니틀[眞野式製筵器] 50대가 일본에서 들어왔다. 이후 크레이지 슬롯 먹튀니틀 수입량이 대폭 증가하여 1916년에는 70,916대, 그 이듬해에는 12,244대에 이르렀다.
크레이지 슬롯 먹튀니가 들어오기 전 우리나라에서는 섬을 썼으나, 섬은 날 사이가 성기어서 낱알이 작거나 주1된 곡물은 담지 못하고 오직 벼 · 보리 · 콩 등만 담았다. 크레이지 슬롯 먹튀니에 비해 담을 수 있는 양은 많으나, 그만큼 무거워서 한 사람이 들어 옮기기도 어려웠다. 그에 비하여 크레이지 슬롯 먹튀니는 한 사람이 나르기에 적당하고 높이 쌓기에 편리하며 날과 날 사이가 잘 다져져서 어떤 곡물도 담을 수 있다. 그뿐 아니라 빈 크레이지 슬롯 먹튀니는 차곡차곡 재어놓기도 좋으며, 더욱이 반으로 접을 수 있어 보관에도 편리하였다.
크레이지 슬롯 먹튀니는 1970년대 말까지 정부에서 매입하였으며, 농가에서는 주2에 부업삼아 이를 많이 짰다. 기계를 이용하므로 두 사람이 하루 20장까지 짤 수 있다. 크레이지 슬롯 먹튀니는 사용 용도에 따라 비료크레이지 슬롯 먹튀 · 볏크레이지 슬롯 먹튀 · 쌀크레이지 슬롯 먹튀로 나누며, 날 수도 각기 달라서 비료크레이지 슬롯 먹튀는 17날, 볏크레이지 슬롯 먹튀는 20날, 쌀크레이지 슬롯 먹튀는 22날로 짰는데, 날 수가 많을수록 든든하다. 크기도 조금씩 달라서 비료크레이지 슬롯 먹튀의 너비는 75.75㎝(2자 반)이나 나머지 두 종류는 84.84㎝(2자 8치)였다. 근래에 주3 · 비닐포대 · 종이부대 등이 대량 생산됨에 따라 정부에 의한 크레이지 슬롯 먹튀니 매입이 중지되고, 한편으로는 벼의 다수확 품종 보급으로 인해 짚 자체도 새끼나 크레이지 슬롯 먹튀니용으로는 부적합하여 크레이지 슬롯 먹튀니 생산은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