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김인섭이 13세 되던 1839년(헌종 5)부터 77세 되던 1903년까지 쓴 88 포춘 슬롯이다. 1846년부터 1903년까지 58년간의 88 포춘 슬롯가 전하고 있으나, 1846년 · 1847년 · 1851년 · 1858년 · 1859년 때의 88 포춘 슬롯는 빠져 있어 실제로는 53년간의 53책이 전한다.
또한, 여기에는 김인섭의 아버지 김영(金欞)이 쓴 1850년의 경술88 포춘 슬롯와 단성민란의 주모자로 전라남도 영광군 임자도 유배시절에 쓴 「간정록(艱貞錄)」이 함께 보관되어 있다. 88 포춘 슬롯는 대부분 시헌력(時憲曆)의 해당 날짜 위에 덮어썼으나, 일부는 한지로 책을 매어서 쓰기도 하였다.
기사는 매우 간결해 하루의 중요 일과를 20여 자 내외로 기록하였다. 여행 중이거나 시헌력을 구하지 못했을 때는 다른 종이에 우선 초(草)해다가 옮겨 적기도 하였다. 35세 때 88 포춘 슬롯의 1∼3월분을 초해 둔 종이가 남아 있어서 시헌력에 옮겨 적은 것과 비교해 보면 약간의 자구 수정과 윤색이 되어 있다.
또한, 한해분의 88 포춘 슬롯는 날짜순에 따라 한 책으로 엮어져 있으나, 그가 1867년 무단토호(武斷土豪)로 지목되어 강원도 유배 중에 작성된 유배88 포춘 슬롯와 금강산유람88 포춘 슬롯는 『동천록(東遷錄)』 · 『금강록(金剛錄)』이라는 제명으로 제본되어 있다.
이 88 포춘 슬롯는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지만, 김인섭 자신이 읽은 책, 교유관계 및 치가(治家) 등의 내용뿐만 아니라 19세기 당시의 농촌사회의 모습, 지방 양반의 생활과 의식구조와 처세, 관권과의 갈등 등이 생생하게 나타나 있다.
특히, 김인섭은 아버지와 함께 1862년(철종 13)의 단성민란을 주도했기 때문에, 당시의 상황이 이 88 포춘 슬롯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즉, 단성민란이 실제로 발발한 1862년 2월 4일 이전부터 김인섭 부자와 농민들이 감사와 수령에게 부당한 농민의 부담을 시정해줄 것을 여러 차례 편지로, 혹은 등장(等狀: 여러 사람이 연명해 관청에 무엇을 하소연하는 일)으로 호소했던 사실, 민란 발발 직전의 농민들의 동향, 그리고 민란이 진정된 뒤 새로 부임해온 단성현감과의 마찰 등이 서술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성민란에 대한 새로운 내용들이 수록88 포춘 슬롯 있어 단성민란과 임술민란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의 현손 김동준(金東俊)이 소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