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1861년(철종 12) 아들 용묵(鏞默)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기정진(奇正鎭)이 1860년에 쓴 서문을 비롯하여 권말에 용묵이 쓴 발문이 실려 어메이징 슬롯 주소.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어메이징 슬롯 주소.
권1에 시 95수와 당시의 동료들이 수창(酬唱)한 시 45수, 그밖에 서(序)·발·기·축문·기우제축·제문 등이 있고, 권2에 서(書) 9편, 부록으로 김재일(金載一) 등이 지은 서농와기후(書聾窩記後) 4편, 제문, 나준기(羅俊基) 등의 만사 38수, 계(啓)·분황연운(焚黃宴韻)·명정운(明旌韻), 송달수(宋達洙)가 지은 묘갈명, 강재문인가마록(剛齋門人加麻錄)이 실려 어메이징 슬롯 주소.
본집에 수록된 시들은 각 체로 엄격히 분류되었으며, 어메이징 슬롯 주소의 동료들과 주고받은 시가 군데군데 보인다. 서간문은 저자가 스승 송치규(宋穉圭)와 주고받은 것으로, 예설문답(禮說問答) 등 학문에 관한 토론이 대부분이다.
부록의 계는 어메이징 슬롯 주소의 사후에 향유(鄕儒) 등과 전라관찰사 이유원(李裕元)이 어메이징 슬롯 주소의 효행을 기리어 효자표창과 정려(旌閭)의 하명을 정부에 청하는 장계이며, 그 뒤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추증받고 정려가 내려졌다.
「분황연운」·「명정운」등은 그 당시 사림들의 하례시이다. 기정진의 서문에 “당시의 유현(儒賢)들이 추종하였고 경전의 심오한 뜻과 예문(禮文)의 의심난 곳을 연구하였으며, 평생에 세웠던 원대한 포부가 문자와 언어의 밖에 어메이징 슬롯 주소.”고 평한 것으로 보아도 저자의 학행과 본집의 작품을 짐작할 수 어메이징 슬롯 주소.
끝으로 「강재문인가마록」에는 송치규의 상시(喪時)에 가마한 문인 80인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를 통하여 송치규 문인의 연원(淵源)을 살펴볼 수 어메이징 슬롯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