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꽁 머니 논산 표정리 고분군 ( )

고대사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표정리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구덩식돌덧널무덤, 굴식돌방무덤, 앞트기식돌방무덤 등이 조사된 무덤군.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무덤
건립 시기
삼국시대
관련 국가
백제
재질
소재지
충청남도 논산시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논산표정리고분군(論山表井里古墳群)
분류
유적건조물/슬롯 꽁 머니/슬롯 꽁 머니/고분군
지정기관
충청남도
종목
충청남도 시도기념물(1994년 11월 04일 지정)
소재지
충남 논산시 연산면 표정리 산58-2번지 외 2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논산표정리고분군(論山表井里古墳群)은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표정리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구덩식돌덧널슬롯 꽁 머니, 굴식돌방슬롯 꽁 머니, 앞트기식돌방슬롯 꽁 머니 등이 조사된 슬롯 꽁 머니군이다. 고분군에서는 지점을 달리하여 구덩식돌덧널슬롯 꽁 머니뿐만 아니라 굴식돌방슬롯 꽁 머니과 앞트기식돌방슬롯 꽁 머니 등의 고분들이 밀집되어 확인되었다. 출토된 유물들도 다른 지방보다 종류가 다양해서 이 지역의 계통, 성격 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표정리 일대에는 5∼6세기 대에 많은 고분들이 분포하고 지속적으로 조영되었음이 확인되어 백제 지방으로서 이 지역이 중요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표정리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구덩식돌덧널무덤, 굴식돌방무덤, 앞트기식돌방무덤 등이 조사된 무덤군.
발굴경위 및 결과

함지봉 서남쪽에 자리한 구릉의 남쪽 사면과 서쪽 말단부에서 백제 고분이 다수 발견되었지만, 삭평(削平: 깎아 편평하게 만듦)되거나 개간 등으로 훼손된 상태로 확인되었다.

이 일대의 고분은 1969년에 황산 중턱에서 주1 1기, 1979년 도구머리에서 돌방슬롯 꽁 머니과 주2 13기, 1981년 인접한 당골에서 돌방슬롯 꽁 머니과 돌덧널슬롯 꽁 머니 8기, 주3 1기, 1985년에 하표정에서 돌덧널슬롯 꽁 머니 16기가 조사되었다. 고분은 상당히 조밀하게 분포하는데, 대부분 돌덧널슬롯 꽁 머니과 돌방슬롯 꽁 머니으로 주4, 주5주6 등 구조가 다양하며, 독슬롯 꽁 머니도 소수 확인되었다.

형태와 특징

하표정에서 조사된 고분 16기의 경우 유실이 심한 14호분을 제외한 15기가 구덩식돌덧널슬롯 꽁 머니으로 확인되었다. 고분은 모두 구릉의 사면부에 입지하며 슬롯 꽁 머니구덩이의 장축 방향은 등고선에 평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돌덧널슬롯 꽁 머니은 슬롯 꽁 머니구덩이 내 아래쪽에 깬돌 모양 널돌을 세우고, 위쪽은 작은 깬돌을 뉘어서 축조한 후 그 위 좌우 벽의 위쪽에 걸쳐 여러 매의 뚜껑돌을 덮어 축조하였다.

덧널의 평면 형태는 긴 장방형이고, 횡단면 형태는 사다리꼴이다. 유물은 대부분 토기류이고 철제 무기들도 약간 확인되며, 널못은 확인되지 않았다. 고분군의 시기는 접시, 손잡이달린술잔, 주7, 세발달린잔, 긴목항아리, 그릇받침 등의 출토 토기로 보아 대체로 5세기 후반∼6세기 초인 웅진기 전반으로 추정된다.

당골과 도구머리 고분군은 서로 인접한 곳에 자리하여 이어지는 고분군으로 볼 수 있다. 고분군에는 구덩식돌덧널슬롯 꽁 머니도 있지만, 굴식돌방슬롯 꽁 머니과 앞트기식돌방슬롯 꽁 머니들이 확인되는 특징을 보인다. 그 중 당골 6호분, 도구머리 13호분은 현실 한쪽 벽에 슬롯 꽁 머니길인 널길이 달린 굴식돌방슬롯 꽁 머니이며, 당골 7호분, 도구머리 7호분 등은 한쪽 벽이 바로 입구인 앞트기식돌방슬롯 꽁 머니이다.

덧널이나 널방의 장축 방향은 대체로 등고선에 평행하지만, 굴식돌방슬롯 꽁 머니은 직교하였다. 굴식돌방슬롯 꽁 머니은 깬돌을 쌓아 축조하였는데, 널방의 평면 형태는 장방형이며, 널길은 오른쪽을 치우쳐 있다. 주8 구조는 문틀이 없는 개구식(開口式)이다.

앞트기식돌방슬롯 꽁 머니도 깬돌을 쌓아 축조하였는데 널방의 평면 형태는 긴 장방형이다. 유물은 토기류가 많이 출토되었는데 주로 세발달린잔, 뚜껑접시, 곧은입항아리, 병 등이며, 철기류는 쇠도끼, 쇠낫, 쇠칼, 살포 등이 출토되었다. 그리고 하표정 고분군과 달리 철제의 관고리나 널못이 출토되기도 하여 목관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고분군의 시기는 출토된 토기로 보아 대체로 6세기 대인 웅진기 후반부터 사비기 전반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1969년에 황산 중턱에서 조사된 고분 1기는 널문 구조가 문틀식인 굴식돌방슬롯 꽁 머니이어서 사비기 고분으로 볼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논산표정리고분군은 백제 지방인 논산 지역에서 확인된 고분군으로, 지점을 달리하여 고분들이 조밀하게 분포한다. 구덩식돌덧널슬롯 꽁 머니, 굴식돌방슬롯 꽁 머니과 앞트기식돌방슬롯 꽁 머니 등 다양한 구조의 고분이 확인되어 5~6세기 대 백제 웅진기에서 사비기에 걸친 고분의 변천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토기가 출토되어 주9 토기의 변화상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표정리 일대에는 5∼6세기 대에 많은 고분들이 분포하고, 지속적으로 조영되었음이 확인되어 백제 지방으로서 이 지역이 중요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남석, 『백제의 고분문화』(서경, 2002)
安承周, 李南奭, 『論山 表井里 百濟古墳 發掘調査報告書 -1985年度 發掘調査-』(百濟文化開發硏究院, 1988)
서성훈, 신광섭, 「表井里廢古墳群調査」(『中島 진전보고Ⅴ』, 국립부여박물관, 1984)

논문

윤무병, 「連山地方 百濟土器의 硏究」(『百濟硏究』 10,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79)
安承周, 「論山 · 表井里 百濟古墳과 土器」(『百濟文化』 9,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976)
주석
주1

돌로 널을 안치하는 방을 만들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려 봉토를 만든 슬롯 꽁 머니. 널길이 달려 있고 천장 구조가 다양하다.   우리말샘

주2

지면을 깊게 파고 자갈 따위의 석재(石材)로 덧널을 만든 슬롯 꽁 머니. 삼국 시대에 사용했으며 널길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말샘

주3

시체를 큰 독이나 항아리 따위의 토기에 넣어 묻는 슬롯 꽁 머니.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인 슬롯 꽁 머니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 시대부터 쓰여 지금까지도 일부 섬 지방에서 쓰이는데, 하나의 토기만을 이용하기도 하고 두 개 또는 세 개를 이용하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4

위에서 밑으로 주검을 넣도록 되어 있는 슬롯 꽁 머니 양식.   우리말샘

주5

지면과 수평으로 판 길을 통하여 널방으로 들어가는 슬롯 꽁 머니 양식.   우리말샘

주6

세 벽만을 쌓고 한쪽 벽으로 드나든 후, 밖에서 나머지 벽을 쌓아서 막아 만든 슬롯 꽁 머니 방식.   우리말샘

주7

접시에 높은 굽을 붙인, 고대 식기의 하나. 동남아시아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사용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김해ㆍ경주 등지에서 많이 발굴된다.   우리말샘

주8

슬롯 꽁 머니 밖에서 널길로 통하는 문.   우리말샘

주9

임금이나 귀족이 죽었을 때 그 사람이 생전에 쓰던 여러 가지 패물이나 그릇 따위를 슬롯 꽁 머니에 같이 묻던 일.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