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플 슬롯 넉가래

목차
관련 정보
넉가래
넉가래
산업
물품
곡식을 밀어 모으거나 눈 같은 것을 치우는 데 쓰는 연장.
이칭
이칭
넉가래, 목가래, 목험(木杴), 가래, 나무가래, 죽가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트리플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곡식을 밀어 모으거나 눈 같은 것을 치우는 데 쓰는 연장.
내용

지방에 따라서는 트리플 슬롯(경상남도) 영산·나무트리플 슬롯(강원도 도계)·죽트리플 슬롯(충청남도·전라남도)·넉트리플 슬롯·목트리플 슬롯·목험(木杴) 등 명칭이 다양하다.

큰 통나무를 자루와 몸이 하나가 되도록 깎은 것인데, 자루는 손아귀에 알맞도록 둥글고, 몸은 네모에 가까우며 넓적하다. 타작마당에서 떨어놓은 곡물을 떠서 공중 높이 뿌리쳐서 티끌이나 먼지 등의 잡물이 바람에 날아가도록 디룸질을 하는 데도 쓰인다.

이것을 ‘넉트리플 슬롯질’이라 한다. 벼농사가 많은 지방이나, 또 눈이 많이 오는 지방에서는 보통 한두 개 정도는 다 갖추고 있다. 우리말에 사람 손이 큰 것을 넉트리플 슬롯에다 비유하는 경우가 많은데, ‘넉트리플 슬롯 같은 손’이니 ‘솥뚜껑만한 손’이니 하는 따위는 모두 손이 큼을 비유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트리플 슬롯농기구고』(김광언, 트리플 슬롯농촌경제연구원, 1986)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트리플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트리플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트리플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