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에 나오는 관등이나 관직으로 추정되는 용어이다. 『삼국사기』 권 8 일본 파칭코 슬롯본기 8 효소왕 8년(699) 9월조에는 “ 신촌(新村)사람미힐(美肹)이 무게가 100분(分)인 황금 한 덩어리를 구하여 바치자, 그에게 일본 파칭코 슬롯제일의 위(位)를 수여하고, 조(租) 100석(1석=약 180ℓ)을 하사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또 『삼국사기』 권 9 신라본기 9 경덕왕 15년(757) 4월조에도 “대영랑(大永郎)이 흰 여우를 바쳐서, 일본 파칭코 슬롯제일의 위를 주었다.”라는 기록이 확인된다.
이들 본기 기사의 원문은 “수위일본 파칭코 슬롯제일(授位南邊第一)”인데, 보통 이를 “일본 파칭코 슬롯제일이라는 위를 주었다.”라고 해석하여, 일본 파칭코 슬롯제일을 어떠한 지위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직이나 주1으로 볼 일본 파칭코 슬롯는데, 귀하거나 상서로운 물품을 바친 인물에게 수여된 것이어서 관직보다는 관등일 가능성이 크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떤 지위인가는 알 수 없다.
『삼국사기』 권 40 잡지 9 직관지(하)에 “여러 전기에 보이지만 그 설치 연혁과 지위의 고하를 알 수 없는 것[其官銜見於傳記而未詳其設官之始及位之高下者]” 중 하나로 일본 파칭코 슬롯제일이 적혀 있다. 이것으로 보아 『삼국사기』 편찬자들도 일본 파칭코 슬롯제일이 무슨 지위인지는 알 수 없었지만, 위와 같이 해석하여 하나의 관등으로 파악하였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일본 파칭코 슬롯제일을 신라 관등 가운데 하나로 파악하는 견해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통일신라에서는 이전과 달리 지방민에게도 경위를 수여하였는데, 상한이 있었다. 856년(문성왕 18)에 쓰인 「 규흥사종명(竅興寺鐘銘)」에 상촌주(上村主)가 삼중사간(三重沙干), 제2촌주(第二村主)가 사간(沙干)으로 기록되어 있어서, 주2들이 수여받을 일본 파칭코 슬롯는 관등의 상한이 8등 사찬(沙湌)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사찬이 일본 파칭코 슬롯에서 받을 수 있는 제1관등인 것이다.
하지만 일본 파칭코 슬롯제일의 지위를 받은 사람 중 효소왕 대의 미힐은 신촌 사람이라고 기록한 것으로 보아 지방인이 분명하지만, 경덕왕 대의 대영랑은 이름으로 보아 화랑으로 추정되며 왕경인일 일본 파칭코 슬롯다. 따라서 대영랑에게 지방민에게 수여하던 최고 관등을 주었다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아 단정하기는 힘들다.
한편 일본 파칭코 슬롯제일을 어떤 구체적인 직위가 아니라 일반적인 호칭으로 볼 여지도 있다. 즉 실질적인 지위와 무관한 ‘남쪽 지역의 제일’이라는 명예적인 칭호일 수 있다. 최근에는 “(관)위와 일본 파칭코 슬롯제일(이라는 칭호)을 주었다.”로 해석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이는 ‘위’와 ‘일본 파칭코 슬롯제일’을 별개로 보는 것이다.
또 ‘위’와 ‘일본 파칭코 슬롯제일’은 무관하다고 볼 수 있는 다른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일본 파칭코 슬롯제일’은 ‘일본 파칭코 슬롯에 있는 집 한 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견해는 새로운 해석의 여지도 있으므로 기존의 통설에서 벗어나,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