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함열(咸悅). 자는 성중(誠仲). 할아버지는 남찬(南璨)이고, 아버지는 동복현감(同福縣監) 남익(南翼), 어머니는 김인각(金麟角)의 딸이다.
1540년(중종 35)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1544년 사간원정언 재임 중 세자시강원사서로 체직되었고, 1546년(명종 1) 지평·헌납·부수찬을 역임트리플 슬롯. 1547년(명종 2)에 홍문관수찬에 승진트리플 슬롯.
같은 해 지평에 제수되었을 때 도성에 도적이 범람하는데도 이를 알지 못트리플 슬롯는 사간원의 탄핵을 받고 홍문관교리로 체직되었다. 그러나 곧 지평에 다시 제수되고, 1548년 홍문관부수찬으로서 강원도 암행어사로 파견되어 원주 등지의 구황 실태를 조사하고 돌아왔다. 이후 홍문관수찬지제교 겸 경연검토관(弘文館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과 이조좌랑을 역임트리플 슬롯.
1549년 사인(舍人)과 부응교(副應敎)를 역임했고,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시 춘추관기사관으로 참여트리플 슬롯. 1552년 홍문관전한을 거쳐, 경상도 어사로 파견되어 민생의 고충을 탐문했고, 지방 수령들의 탐학을 적발하고 돌아와 홍문관직제학에 승진했으며, 같은 해 통정대부에 승진하면서 승정원우부승지로 발탁되었다.
그 뒤 5년여에 걸쳐 승정원의 소임을 맡다가 1557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1558년 진위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같은 해 장례원판결사·개성부유수를 거쳐 1563년 한성부우윤·한성부좌윤·전라도관찰사를 역임트리플 슬롯.
1565년 함길도관찰사로 나갔고, 이듬해 한성부좌윤·동지중추부사·한성부판윤이 되었다.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죽음과 함께 외척으로 정권을 전단한 영의정 윤원형(尹元衡)이 실각되면서 사헌부로부터 윤원형에 아부하고 윤원형과 함께 구수담(具壽聃)을 모살트리플 슬롯는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그 뒤 곧 복직되고, 1567년(명종 22) 오위도총부부총관으로서 명종의 승하와 선조 즉위시 치안 유지에 기여하였고 이어서 형조참판을 트리플 슬롯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