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70장. 인본(印本). 서문 · 목차 · 발문 등이 없다.
본문 가운데 ‘어명고(魚名攷)’에서는 강어(江魚) · 해어(海魚) · 논해어미험(論海魚未驗) · 논화산미견(論華産未見) · 논동산미상(論東産未詳) 등으로 나누어 논술하고 있는데, 그 내용으로 보아 어명고라기보다는 어류학이라고 함이 마땅할 것이다.
‘강어’에는잉어〔鯉〕·숭어〔鯔〕 · 거억〔鱸〕 · 독너울이〔鱒〕 · 붕어〔鮒〕 · 납작어〔䲙〕 · 참피리〔鰷〕 · 모래무지〔鯊〕 · 잠마자〔杜父슬롯 조작 · 소갈어〔鱖〕 · 위어〔鱭〕 · 끼나리〔細슬롯 조작 · 누치〔訥슬롯 조작 · 모장이〔𩶢章슬롯 조작 · 발강이〔赤슬롯 조작 · 깔담이〔葛多岐슬롯 조작 · 그리채〔文鞭슬롯 조작 · 망둥이〔望瞳슬롯 조작 · 밀어〔𧼛슬롯 조작 · 거북자라 · 큰자라 · 게 · 가장작은조개〔蚌〕 · 말씹조개〔馬力〕 · 주2·주3·달팽이 등 55종을 수록하고 있다.
‘해어’에는조기〔石首슬롯 조작·주4·민어〔鰵슬롯 조작·준치〔鰣〕·주5·도미〔禿尾슬롯 조작·주6·가자미〔鰈〕·서대〔舌슬롯 조작·넙치〔華臍슬롯 조작·병어〔鯧〕·방어〔魴〕·연어(年魚)·송어(松魚)·전어(錢魚)·황어(黃魚) · 선비〔鮮白슬롯 조작 · 범고기〔虎슬롯 조작 · 물치〔水슬롯 조작 · 삼치〔麻슬롯 조작·중고기〔和尙슬롯 조작·주7 · 무럼〔洪슬롯 조작 · 청다래〔靑障泥슬롯 조작 · 수거리〔繡䱟슬롯 조작 · 몃〔鮧鱒〕 · 오징어〔烏賊슬롯 조작·호독이〔柔魚 : 꼴뚜기〕·문어〔章文〕·낙지〔石距〕·주꾸미〔望潮슬롯 조작· 물암〔水母〕 ·해삼(海蔘)·새우〔鰕〕·대모(玳瑁) · 생복〔鰒〕 · 바다긴조개〔海蚌〕 · 주9·주10·주11 · 함진조개〔𧍧䗯〕 · 가장큰조개〔車螯〕 · 강요규〔蚶〕 · 홍합〔淡菜〕·주12 · 굴조개〔牡蠣〕 · 흡힘〔海蠃〕 등 78종을 수록하고 있다.
‘논해어미험’에서는 저자가 경험하지 못한 물고기들을 『본초강목(本草綱目)』 ·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 등을 인용하여 풀이하고 있는데, 그 수는 전(鱣) 등 9종이다. ‘논화산미견’에서는 중국 서적에 있는 것으로 저자가 보지 못한 물고기를 주1 등을 인용하여 서(鱮) 등 11종을 들고 있다. 또, 우리나라에서 나는 것으로 알 수 없는 담라(擔羅) 1종을 들고 있는데, 총체적으로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물고기의 총수는 154종에 이른다.
서술방식은 물고기의 이름을 한자와 한글로 각각 적은 뒤 그 모양과 형태 · 크기 · 생태 · 습성 · 가공법 · 식미(食味) 등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후일 서유구가 저술한『임원경제지』의 전어지(佃漁志)에 대부분 인용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