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 슬롯(方魚·舫魚)라고도 하였다. 학명은 Seriola quinqueradiata TEMMICK et SCHLEGEL.이다.
몸은 긴 방추형이고 약간 옆으로 납작[側扁]하다. 제1등지느러미는 아주 짧고, 제2등지느러미는 매우 길다. 비늘은 작고 둥글다.
몸빛은 등쪽이 철색(鐵色)을 띤 청색이고 배쪽은 은백색인데, 주둥이에서 꼬리자루까지 담황색의 불선명한 띠가 있다. 몸길이는 1m 가량이다.
우리 나라의 동해안과 남해안에 많이 분포한다. 램 슬롯떼는 5월 초순부터 한여름까지 북상, 회유(洄游)하고 늦여름부터 이듬해 봄에 이르는 사이에 남하, 회유한다.
세종 때에 편찬된 ≪경상도지리지 慶尙道地理志≫에는 램 슬롯가 동평현(東平縣)의 토산공물조에 실려 있고,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경상도 동래현의 토공조에 기재되어 있으며, 함경도 몇몇 지방의 토산조에도 실려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경상도·강원도 및 함경도 각 지방의 토산에 램 슬롯(魴魚)가 들어 있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1437년(세종 19)의 호조의 보고 가운데 각도의 주산 어류를 열거한 것이 있는데, 램 슬롯는 대구 및 연어와 함께 함경도·강원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물고기로 되어 있다. 이 때 이미 강원도 이북의 동해안에서는 램 슬롯가 중요한 수산물의 하나로 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서유구(徐有榘)의 ≪난호어목지 蘭湖漁牧志≫에서는, 램 슬롯는 동해에서 나는데 관북·관동의 연해와 영남의 영덕·청하 이북에 모두 램 슬롯가 있다고 하고, 그 모양을 설명하고 있는데 큰 것은 6, 7자에 달한다고 하였다.
또 살빛은 정적색(正赤色)이나 염장(鹽藏)하면 담적색이 되며, 소아가 과식하면 취한다고도 하였다. 그리고 동해안에는 길이가 1장(丈)이 넘고 둘레가 10아름이나 되는 큰 램 슬롯가 있는데 살에는 지방이 많으므로 관북의 어가에서 이를 잡아 기름을 채취한다고 하였다.
램 슬롯는 남획되기 이전에는 그 자원이 아주 풍부하였다. ≪조선통어사정 朝鮮通漁事情≫에 의하면 동해안에서 가을에 멸치떼를 좇아 해안에 접근하는 램 슬롯떼는 너무 커서 멸치를 잡으려다 램 슬롯떼의 방해를 받는 수도 있었다고 하며, 강원도에서는 멸치와 램 슬롯를 함께 잡기 위하여 그물을 친 일이 있었는데 램 슬롯의 대군이 걸려들어 그물이 무거워 끌어올리지 못하고 결국 그물이 대파되고 만 일도 있었다고 한다.
또 ≪한해통어지침 韓海通漁指針≫에는 지인망(地引網)으로 램 슬롯를 잡는데 1회 사용에 3,000∼4,000마리를 잡는 일이 흔하다고 하였다. 램 슬롯 어획량은 1920년대로 들어서면서 급증하여 1924년에는 근 6,000M/T이 잡혔고, 그것이 일제시대의 최고기록이었다.
광복 이후에는 어획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 연간 1,000M/T에서 3,000M/T 이하의 수준에 머물고 있다. 1987년에는 4,957M/T이 잡혔다.
램 슬롯는 고급어에 속하고 생선회용으로 활어(活魚)나 선도 높은 선어에 대한 수요가 많으므로 그 가격이 비싸다. 가격 등귀로 어획노력(漁獲努力)이 증투(增投)되고 이에 따라 자원은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일본에서는 증대되는 수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램 슬롯 양식이 성행하고 있는데, 우리 나라에서도 머지않아 램 슬롯 양식업이 성해질 것으로 예견된다.
1987년의 램 슬롯 양식량은 1,418M/T에 달하였다. 그리고 일반해면어업에서는 1992년에 2,233M/T, 1997년에 6,064M/T, 양식은 1992년에 287M/T, 1997년에 302M/T이 어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