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개 장방형·다각형으로서 각의 모서리가 원형으로 부드럽게 꺾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테두리의 전은 따로 파서 물리어 붙였는데, 보통 전의 두께에 비하여 두껍다.
소반의 밑면에는 운각(雲脚)이라는 테가 있어 투각되었거나 또는 조각장식이 붙어 있는데, 이 테두리를 따라 티 카페 슬롯의 윗부분이 끼워져 있다. 반과 티 카페 슬롯의 접합은 장부촉 짜임으로 끼워 맞춘다.
그리고 네 티 카페 슬롯 중간 네 변에는 나주반 특유의 철형(凸形) 중대(中帶 : 가락지)가 견고하게 물려 있어 쟁반의 힘을 받으며 안정감을 준다. 티 카페 슬롯는 죽절형(竹節形)으로 구족(狗足)·묘족(猫足)·호족(虎足) 등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티 카페 슬롯의 모습은 아래로 내려오면서 바깥으로 약간 굽으면서 끝에서 다시 안으로 굽어, 마치 동물들이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하여 뒷티 카페 슬롯를 벌리고 서 있는 모습을 연상시켜준다.
쟁반면의 재료는 은행나무가 가장 좋은 재료로 사용되었으며, 나뭇결이 좋은 느티나무도 많이 사용된다. 티 카페 슬롯부분은 버드나무 혹은 소나무를 사용하였는데, 옻칠을 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