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끊음질

목차
관련 정보
끊음질
끊음질
공예
개념
실 같이 켜낸 자개를 끊어 붙여 나가는 나전칠기의 장식기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질은 실 같이 켜낸 자개를 끊어 붙여 나가는 나전칠기의 장식기법이다.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질 기법은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된 바 있으나 그 기능보유자인 [심부길(沈富吉)이 죽음에 따라 해제되고, [나전장](중요무형문화재, 1966년 지정)의 기능속에 흡수되었다.

목차
정의
실 같이 켜낸 자개를 끊어 붙여 나가는 나전칠기의 장식기법.
내용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를 가늘게 실같이 켜내어 칼끝으로 눌러서 끊어 붙여 나가는 기법을 말한다. 나전 기법 중에서 실톱으로 썰거나 줄로 다듬는 주름질이 물형(物形) 표현 위주의 기법인 데 비하여,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질은 얇게 켠 자개껍질을 직선으로 재단하기 때문에 주로 기하학적인 연속무늬를 구성하는 데 이용된다.

재료로는 빛깔이 고운 전복의 내피를 으뜸으로 치는데, 일정한 너비로 절단한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를 ‘상사’라 부른다. 이 중 한쪽을 뾰족하게 절단한 상사는 송곳상사라 하여 회화적인 산수문을 묘사하는데 적절히 이용한다. 양끝이 일정한 상사는 목공연장인 쪼갬금쇠와 같은 도구를 써서 가늘게 잘라내지만, 일반적으로는 창칼 모양의 거도(鋸刀 : 톱의 한가지)로써 상사를 만든다.

상사에 의한 기하학적 무늬의 발생은 13·14세기경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나전칠기가 나전모란당초문경함(螺鈿牡丹唐草文經函, 일본 北村美術館 소장)이다. 모란의 형태가 반련(潘蓮)으로 세밀하게 묘사된 이 경함은 각 면의 둘레를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질로 선묘(線描)하였는데, 국화무늬를 주로 하고 함 아랫단에는 귀갑화문(龜甲花文)을 둘러서 의장하였다. 나전칠기에서 이러한 종류의 기하학적 무늬는 중국보다 오히려 고려에서 선행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의견도 있는데, 조선시대까지 계속 성행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현존 유물에서는 고려 나전의 한 특징을 이루었던 동선(銅線) 사용이 부진해지면서 당초 줄기와 계선(界線) 등을 자개상사로 대체한 예가 많음을 볼 수 있다. 그러다가, 19세기 말에서 20세기에 걸쳐 나전칠기 붐이 일면서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질 기법이 새삼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격자무늬 · 귀갑무늬와 미자(米字) · 국화 · 싸리짝 · 회포 등의 일반적인 기하학무늬를 비롯하여 길상문자(吉祥文字)와 십장생도(十長生圖)에도 응용하기에 이르렀고, 심지어는 송곳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를 개발하여 산수풍경을 묘사함에 있어 필묵(筆墨)의 준법(皴法 : 동양의 산수화에서 입체감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되는 화법)과 같은 회화적 감각을 더하기도 하였다.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질 기법은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된 바 있으나 그 기능보유자인 심부길(沈富吉)이 죽음에 따라 해제되고,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장(중요무형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재, 1966년 지정)의 기능속에 흡수되었다.

통영의 송방웅씨가 중요무형문화재 제 10호로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질 기법을 잇고 있었는데 2020년 별세하였다.

참고문헌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無形文化財調査報告書)』 126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질-(문화재관리국, 197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