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으로 국문 필사본과 활자본이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필사본은 국립중앙도서관본과 ‘○○각씨젼호녹’이라는 표제가 붙은 구 김동욱(金東旭) 주1이 있다. 또 ‘○독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실긔’라는 주2의 이가원(李家源) 소장본이 있는데, ‘노처녀곽독각씨전(老處女郭禿閣氏傳)’이라고도 한다. 활자본은 1923년 영창서관(永昌書館)에서 간행된 『노처녀(老處女)의 비밀』이라는 주3에 ‘꼭독각씨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이 책은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도남문고(陶南文庫)에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숙종 때에 전라도 무주 땅에 '꼭두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라는 처녀가 살았다. 꼭두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는 어려서 부모를 잃고 집이 가난하며 얼굴이 못생겨서 늦도록 시집을 못 가고 애를 태웠다. 어느날 골 생원 집에서 구혼이 들어와 정혼을 하고는 기뻐하며 앞날에 대한 희망으로 부풀었다.
그러나주4를 받은 지 3년이 지나도록 신랑인 골 서방이 장가를 오지 않자, 이웃 매파가 찾아와서 아내와 사별한 윤 좌수의 후처로 가기를 권한다. 이에 꼭두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는 주5의 도리를 내세우며 그 권유를 물리치고는 윤 좌수의 주6이 두려워 골 생원 집을 찾아 나선다.
골 생원 집을 찾아가 보니 사는 형편이 말이 아니었고, 신랑도 몸이 온전치 않았다. 그러나 꼭두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가 혼례를 치르고 마땅한 도리를 지키자, 그 예의범절에 동네 사람들이 감동한다. 그 뒤 우연히 뒷동산에 올라갔다가 금덩이를 얻어, 그 금을 마을 김 부자의 재산과 바꾸어 행복하게 살게 된다.
이 작품은 지체가 낮고 못생긴 여자 주인공이 행복을 이루기까지의 과정을 담고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이 작품의 서사는 소설뿐 아니라 판소리 주7, 잡가, 민요, 설화, 민속인형극 등의 다양한 민속 예술에서 활용되고 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특히, 이 작품에서는 민요와 설화의 여러 설정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꼭두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라는 개성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인물을 창조하고 있다. 조선 후기에 대단한 인기를 모았던 가사 「 노처녀가」 속 노처녀의 여러 모습이 꼭두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의 형상화에 영향을 주었으나, 꼭두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는 「노처녀가」에 등장하는 노처녀의 여러 부정적 모습을 극복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몰락 양반인 골 서방을 양반답지 않은 인물로 형상화하여 양반을 풍자하는 반면, 평민 출신인 꼭두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를 양반답게 처신하는 것으로 그려 평민층의 신분 상승 의욕을 합리화시키고 있다. 중세 질서를 비판하면서 동시에 수용하는 양면적 작가 의식이 나타난다. 이 작품은 자아의 소망은 어떠한 장애라도 극복하고 실현될 수 있다는 신념을 민담적 세계관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한편, 숭고한 대상을 주8으로 풍자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비장한 체험을 주9으로 드러내면서 판소리 투의 표현을 활용머독 아이작 슬롯 머신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작품은 중세적 질서가 해체되는 당대의 삶의 양상을 반영하면서 평민층의 현실주의적 의식의 성장을 보여주는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