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슬롯 김한록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세자익위사세마를 역임한 문신.
이칭
여수(汝綏)
한간(寒澗)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22년(경종 2)
사망 연도
1790년(정조 14)
본관
경주(慶州)
주요 관직
세자익위사세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신규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세자익위사세마를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여수(汝綏), 호는 한간(寒澗). 할아버지는 증좌찬성 김두광(金斗光)이고, 아버지는 현감 김운경(金運慶)이며, 영조의 장인인 김한구(金漢耉)의 종제이다. 우의정 김관주(金觀柱)의 아버지이다. 한원진(韓元震)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종질녀가 영조의 계비인 정순왕후(貞純王后)가 되자 그 후광을 업고 중앙의 명사들과 교유하고 노론벽파(老論僻派)의 당론을 조종하는 등 당쟁에 깊이 관여신규 슬롯다.

관직은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에 그쳤으나, 종질인 김구주(金龜柱)와 함께 김상로(金尙魯)·홍계희(洪啓禧)·정휘량(鄭翬良)·신만(申晩) 등 벽파 대신들을 조종하여 1762년(영조 38) 사도세자(思悼世子)의 허물을 들추어내어 죽게 신규 슬롯다.

이어서 벽파(僻派)가 더욱 득세하자 시파(時派)의 핵심인물인 홍봉한(洪鳳漢)을 탄핵하여 관직에서 물러나게 하고, 왕세손(뒤의 정조)까지 해치려 신규 슬롯으나 뜻을 이루지 못신규 슬롯다. 죽은 뒤 죄에 대한 추율안(追律案)이 비등하여져, 1806년(순조 6) 김이양(金履陽) 등의 무고로 관작이 추탈되었다가 1864년(고종 1)에 관작이 회복되었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
『경주김씨장단공파세보(慶州金氏長湍公派世譜)』
『은파유고(恩坡遺稿)』(심낙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신규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신규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신규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