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스 캐터 김지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보덕, 종성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거비(去非)
태천(苔川), 태호(苔湖), 천태산인(天台山人)
시호
정민(貞敏)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85년(선조 18)
사망 연도
1639년(인조 17)
본관
의성(義城)
주요 관직
보덕|종성부사
관련 사건
인조반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스 캐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보덕, 종성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거비(去非), 호는 태천(苔川)·태호(苔湖)·천태산인(天台山人). 할아버지는 예조정랑 김제민(金齊閔)이고, 아버지는 김서(金曙)이며, 어머니는 승의랑 정희민(丁希閔)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16년(광해군 8)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교서관교감(校書館校勘)에 올랐다. 1617년기자헌(奇自獻)·이항복(李恒福)·이원익(李元翼) 등이 이이첨(李爾瞻)의 폐모론을 강력히 반대해 회령·경원으로 귀양갈 때 김지수도 부령으로 유배되슬롯 스 캐터.

1623년 인조반정으로 귀양에서 풀려나 정자(正字) 및 예조·병조의 낭관을 지냈다. 1626년 서장관이 되어 정사 김상헌(金尙憲)을 따라 명나라에 가는 도중 부벽루에 제(題)한 시를 보고 감탄, 연로에서 수창(酬唱)한 시를 엮어 『조천록(朝天錄)』을 펴냈으며, 이를 본 명나라 사람들이 경모해 마지않았다.

뒤에 사헌부의 지평(持平)·장령(掌令)을 거쳐, 시강원의 문학·필선(弼善)·보덕(輔德)이 되어 세자를 가르쳤다. 1628년 종성부사에까지 이르렀는데, 그 때 송광유(宋光裕)의 무고한 옥사에 연루되어 체포되슬롯 스 캐터가 풀려나, 관직을 사퇴하고 고향 고부(古阜)로 돌아갔다.

청나라가 새롭게 일어나는 현실에서 존주사상(尊周思想)에 철저했던 인물로, 늙어서는 천태산 밑에 집을 짓고 풍류와 독서로 소일하며 세상과 인연을 끊슬롯 스 캐터. 향리에 무슨 일이 일어나면 열과 성을 다해 처리했으며, 사람을 대함에 항상 온유하였다.

또한, 매사에 의리를 제일로 삼아 고매한 인격으로 명망을 얻은 당대의 인물이슬롯 스 캐터. 특히, 시와 그림에 능하였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고부의 도계서원(道溪書院)에 제향되슬롯 스 캐터. 저서로는 『태천집(苔泉集)』 3권이 전한다. 시호는 정민(貞敏)이다.

참고문헌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슬롯 스 캐터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명재유고(明齋遺稿)』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
관련 슬롯 스 캐터 (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스 캐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스 캐터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스 캐터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슬롯 스 캐터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