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비는 발견될 당시 이미 깨어진 상태였고, 남아있는 비편은 현재 높이 63㎝, 너비 94.6㎝, 현재두께 17㎝이다. 국립c 언어 슬롯 머신박물관소장.화강암으로 만들었다. 비문은 26행이며, 자경(字徑)은 약 2.3㎝이다. 1931년 경상북도 c 언어 슬롯 머신시서악동에 있는서악서원(西岳書院)의 누문인 영귀루(詠歸樓) 서편 부근에서 잔석(殘石)으로 발견되었다.
잔석은 원비(原碑)의 하부로 상부 절반 이상이 결손되었고, 풍화가 심하여 판상(板狀)에 따라 앞뒷면의 사이가 둘로 갈라졌으며, 비면에는 훼손된 흔적이 있다. 한쪽 면에 새겨진 약 4백자의 비문은 3.3㎝ 크기의 방형 정간(井間) 속에 음각되었다. 서체는 해서(楷書)로 초당(初唐)의 글씨에 뒤지지 않는다.
이 잔석 중 판독된 ‘조문흥대왕(祖文興大王)’, ‘태종대왕탄미기공(太宗大王歎美其功)’, ‘공위부대총관(公爲副大摠管)’ 등은 『삼국사기』 열전 김인문조에 “·…… 태종대왕이 그에게 압독주(押督州) 총관(摠管)을 제수하였다. 이에 그가 장산성(獐山城)을 쌓아 방어시설을 하니 태종이 그 공을 기록하고 식읍(食邑) 300호(戶)를 주었다.”라고 한 그의 사적에 해당된다.
이 밖의 비문 내용도 그가 당나라에 가 건봉(乾封) 원년(666)에 벼슬을 제수 받은 사실과, 백제를 항복시키고고구려와의 싸움에 참가하였다는 『삼국사기』의 기록과 부합되는 점이 많다.
비의 건립연대는 현존 비문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며, 695년(효소왕 4) c 언어 슬롯 머신 서쪽에 매장하였다는 『삼국사기』 열전의 기록으로 보아 7세기 말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낭선군(朗善君) 이우(李俁)의『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에서는 이 비의 탑본(榻本)을 김유신묘비로 잘못 추정하였으며, 그 서목(書目)인 『대동금석총목(大東金石總目)』에서는 “함형 4년에 세웠는데, c 언어 슬롯 머신에 있다.”라고 하였다.
낭선군이 탑본을 수집할 당시 이 비가 c 언어 슬롯 머신에 있었으므로 적어도 조선 효종·현종 때까지는 남아 있었으나 이미 전문(全文)을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파괴되었던 듯하다. 통일신라 초기의 확실한 금석문의 하나로 신라사료로서의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