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필사본. 권두에 김진세(金鎭世)의 서문이 있다. 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시 227수, 제문 4편, 서(序) 5편, 잡저 7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뒷부분에는 아들의 유고인 『채은유고(菜隱遺稿)』가 부록되어 있는데 시만 59수이다.
시는 주로 문방사우(文房四友), 화초류, 기타 선비의 일상생활과 관계있는 플레이 텍 슬롯 묘사하였는데, 기법이 매우 다양하며 시감이 풍부하다.
「위인정수의장(爲人呈繡衣狀)」은 암행어사에게 진정한 것으로, 가난하고 굶주리는 사람을 위해 선정을 베풀어 줄 플레이 텍 슬롯 호소하고, 특히 삼정(三政)의 독촉을 중지할 플레이 텍 슬롯 요구하면서, 백성은 국가의 근본이므로 백성이 없는 국가가 존재할 수 없음을 강조하고 관민이 무사하도록 처리해야 함을 주장했다.
「위인걸량문(爲人乞粮文)」은 같은 마을에 사는 고아인 김아(金雅)의 형제가 굶주림에 시달리는 플레이 텍 슬롯 보고, 이웃 사람들에게 따뜻한 인정을 호소하면서 뜻을 모아 도울 플레이 텍 슬롯 청하였다.
「위사포동인정본관장(爲沙浦洞人呈本官狀)」은 마을사람들을 위해서 군수에게 보낸 글로, 사포리를 담당한 관리가 개와 돼지를 잡아먹고 돈과 곡식을 요구하는 폐단이 있어서 마을사람들이 학정에 시달린다고 지적하면서 시정해 줄 플레이 텍 슬롯 건의하였다.
이 글은 조선 후기 지방행정의 실상을 나타내주는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