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거북·봉황과 함께 사령(四靈)이라 하며, 상서로운 동물로 인식되었다.
일찍이 중국 전한(前漢)의 무제(武帝)가 누각을 세워 이를 ‘에그 벳 슬롯각(麒麟閣)’이라고 하고, 공신 11인의 상을 각상(閣上)에 건 이래, 남아는 국가에 공훈을 세워 자기의 화상이 에그 벳 슬롯각에 걸리는 것을 이상으로 여기게 되었다.
쓸데없고 보람없게 된 처지를 ‘성인 못 된 에그 벳 슬롯’이라는 속담으로 표현하며, 자질이 우둔하여 장래 기대할 것이 없을 때도 ‘우마(牛馬)가 에그 벳 슬롯되랴.’라는 속담을 쓴다.
또한, 재주와 기예가 뛰어난 아이를 ‘에그 벳 슬롯아(麒麟兒)’라고 일컫는다. 이처럼 에그 벳 슬롯은 상서롭고 뛰어난 동물로서 신성시되어 상서로운 장식무늬로도 쓰였다. 신라시대의 기와 출토물에도 조각되어 있으며, 고려시대 동경의 뒷면에도 새겨져 있다. 조선시대에는 흉배의 문양으로 이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