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에국보로 지정되었다. 501년에서 523년까지 재위하였고 525년에 매장된 섀도 어 슬롯 강화과 529년에 매장된 섀도 어 슬롯 강화의 부부묘인 섀도 어 슬롯 강화릉에서 발견된 섀도 어 슬롯 강화의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이다.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은 연도 쪽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왕비의 주1의 머리 부분에 위치하였다. 이 금제섀도 어 슬롯 강화과 더불어 금제방형판, 오각금판 8매, 그리고 머리장식으로 추정되는 은제 나선형 장식 2점이 함께 발견되었다.
무령왕비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은 무령왕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과 마찬가지로 주2와섀도 어 슬롯 강화문의 조합 모티프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세부 형식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왕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은 비대칭으로 화염문의 형상을 하고 있는 반면, 왕비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은 연화 한 송이가 피어나는 팔메트를 장식한 병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의 팔메트가 완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체 관의 부속물이 같지 않아 이 섀도 어 슬롯 강화이 착장된 관의 모습은 왕과 왕비의 것이 다를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왕과 왕비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의 주3가 다른 것이 주목된다. 왕 섀도 어 슬롯 강화의 병부는 안으로 60° 정도 구부러지고 구멍이 있는 반면 왕비의 것은 쭉 뻗어 있고 구멍이 없으며 녹이 슬어 있다.
왕과 왕비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이 연화문과 팔메트의 식물문으로 구성된 것은 『삼국사기(三國史記)』의고이왕(古爾王) 28년(261)조와 『신당서(新唐書)』 「동이전(東夷傳)」의 백제조에 등장하는 금화, 즉 주4에 장식된 금꽃을 표현한 것이다. 왕비의 금식에는 왕의 것에는 없는 병이 등장하는데, 이는 인도 산치대탑이나 아마라바티탑에는 몸체가 풍만한 둥근 병에서 여러 가지의 연화가 피어 있는 연화현병(蓮華賢甁)에 그 연원이 있다. 물에서 서식하는 연화를 문양화한 연화문은 물이 가진 속성 즉 생명을 탄생시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연화의 생명 탄생의 개념이 시각적으로 도안화된 연화현병 모티프인데, 무령왕비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은 바로 이 연화현병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된다.
무령왕비의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은 왕비가 생전에 사용한 것이나 혹은 아들 성왕에 의해 새로 제작되어 부장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무령왕비의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을 통해 백제에서 왕과 왕비가 모두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을 착용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무령왕비의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에 표현된 연화화생의 모티프를 통해 무령왕대에 불교가 새롭게 신장된 사실이 파악된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