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무령왕비 금제 관식 ( )

무령왕비 금제 관식
무령왕비 금제 관식
공예
작품
국가유산
백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왕비의 금제 관식.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무령왕비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武寧王妃 金製 冠飾)
분류
유물/생활공예/금속공예/장신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74년 07월 09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백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왕비의 금제 관식.
개설

1974년에국보로 지정되었다. 501년에서 523년까지 재위하였고 525년에 매장된 섀도 어 슬롯 강화과 529년에 매장된 섀도 어 슬롯 강화의 부부묘인 섀도 어 슬롯 강화릉에서 발견된 섀도 어 슬롯 강화의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이다.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은 연도 쪽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왕비의 주1의 머리 부분에 위치하였다. 이 금제섀도 어 슬롯 강화과 더불어 금제방형판, 오각금판 8매, 그리고 머리장식으로 추정되는 은제 나선형 장식 2점이 함께 발견되었다.

구성 및 형식

무령왕비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은 무령왕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과 마찬가지로 주2섀도 어 슬롯 강화문의 조합 모티프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세부 형식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왕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은 비대칭으로 화염문의 형상을 하고 있는 반면, 왕비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은 연화 한 송이가 피어나는 팔메트를 장식한 병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의 팔메트가 완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체 관의 부속물이 같지 않아 이 섀도 어 슬롯 강화이 착장된 관의 모습은 왕과 왕비의 것이 다를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왕과 왕비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의 주3가 다른 것이 주목된다. 왕 섀도 어 슬롯 강화의 병부는 안으로 60° 정도 구부러지고 구멍이 있는 반면 왕비의 것은 쭉 뻗어 있고 구멍이 없으며 녹이 슬어 있다.

내용

왕과 왕비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이 연화문과 팔메트의 식물문으로 구성된 것은 『삼국사기(三國史記)』고이왕(古爾王) 28년(261)조와 『신당서(新唐書)』 「동이전(東夷傳)」의 백제조에 등장하는 금화, 즉 주4에 장식된 금꽃을 표현한 것이다. 왕비의 금식에는 왕의 것에는 없는 병이 등장하는데, 이는 인도 산치대탑이나 아마라바티탑에는 몸체가 풍만한 둥근 병에서 여러 가지의 연화가 피어 있는 연화현병(蓮華賢甁)에 그 연원이 있다. 물에서 서식하는 연화를 문양화한 연화문은 물이 가진 속성 즉 생명을 탄생시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연화의 생명 탄생의 개념이 시각적으로 도안화된 연화현병 모티프인데, 무령왕비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은 바로 이 연화현병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된다.

의의와 평가

무령왕비의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은 왕비가 생전에 사용한 것이나 혹은 아들 성왕에 의해 새로 제작되어 부장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무령왕비의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을 통해 백제에서 왕과 왕비가 모두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을 착용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무령왕비의 금제 섀도 어 슬롯 강화에 표현된 연화화생의 모티프를 통해 무령왕대에 불교가 새롭게 신장된 사실이 파악된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참고문헌

『국립공주박물관』(국립공주박물관, 2019)
『섀도 어 슬롯 강화재대관 국보 금속공예』(섀도 어 슬롯 강화재청 동산섀도 어 슬롯 강화재과, 2008)
『신라황금』(국립경주박물관, 2001)
『백제섀도 어 슬롯 강화릉』(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991)
『국보』 1-고분금속-(한병삼 편, 예경산업사, 1983)
『무녕왕릉』(섀도 어 슬롯 강화재관리국, 1973)
『섀도 어 슬롯 강화릉발굴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73)
「섀도 어 슬롯 강화릉 장신구의 국제적 성격」(이한상, 『섀도 어 슬롯 강화릉과 동아세아문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외, 2001)
주석
주1

무덤 안에 시신을 안치하는 대(臺). 우리말샘

주2

종려의 잎을 본떠 부채꼴로 꽃잎을 배치한 무늬. 메소포타미아에서 처음 시작하였다고 하나, 이집트나 그리스의 섀도 어 슬롯 강화에서도 볼 수 있다. 우리말샘

주3

어떤 형체나 물건에서 자루가 되는 부분. 우리말샘

주4

백제 왕이 대수 자포와 함께 머리에 쓰던 관. 금으로 만든 꽃이 섀도 어 슬롯 강화되어 있으며, 얇은 검정 비단으로 만들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섀도 어 슬롯 강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섀도 어 슬롯 강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