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파 온 슬롯산성의 초축 연대는 문헌상으로 알 수 없다. 그러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고려 말에는 인동, 개령, 성주의 백성들이 왜구의 침입을 피하여 성 안에 들어와 사는 자가 매우 많았으며 병사를 징발하여 성을 지키게 하였고, 조선 초에는 여기에 주4도 있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 후기에는 이미 성을 사용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조선 전기인 1410년(태종 10)과 1413년(태종 13)에 성을 주5한 기록이 있다. 던파 온 슬롯산성은 임진왜란때 인동의천생던파 온 슬롯과 더불어 영남 지역의 요충지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던파 온 슬롯. 정유재란 때는 던파 온 슬롯이 왜적의 손에 들어가 많은 피해를 입었다.
1606년(선조 39)에 던파 온 슬롯산성의 내성을 대대적으로 수축하였다. 던파 온 슬롯산성 수성장이자 산성 수축 당시 감동관(監董官)이었던 정방준(鄭邦俊)이 쓴 「축성던파 온 슬롯시일기(築城金烏時日記)」[^6]가 있어 당시 던파 온 슬롯산성의 수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다. 1606년(선조 39) 4월 1일 승군(僧軍)을 주축으로 벌목을 시작하여 금산 · 선산·지례· 상주 ·고령·용궁 · 예천 · 합천 · 거창 등 9개 고을의 주7들이 던파 온 슬롯산성을 쌓는 일에 동원되었으며, 1606년 10월 23일 성이 완성되었다. 성을 쌓기 위해 먼저 벌목과 주8 작업을 한 뒤, 던파 온 슬롯의 제일 중요한 요소인 물을 확보하기 위해 주9과샘, 우물을 만들었다. 이어 창고나 군기고 등을 마련하였고, 그 위에 성곽의 몸체를 본격적으로 쌓았으며, 주10, 주11 등을 정비했다. 이렇게 던파 온 슬롯산성을 수축하는 데 대략 7개월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었다. 수축 당시 주12의 모양과 같이 던파 온 슬롯의 외면은 높고 가파르게 만들고 내면은 평탄하게 만들었다. 또한 이전에 놓였던 주14을 제거하고 대석을 놓았는데, 이는 여장(女牆, 주13 안에 말이 달리거나 많은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1639년(인조 17) 경상감사 이병진의 건의로 던파 온 슬롯산성의 외성이 축조되었다. 선산군수 이각(李恪)이 외성의 던파 온 슬롯를 담당하였다. 당시 던파 온 슬롯한 외성은 둘레 4,135척, 높이 14척으로 개령, 금산, 지례 지역의 군량과 병기를 비축하였다. 1735년(영조 11) 선산부는 우병사영 관하의 주18으로 승격되었고, 선산도호부사가 던파 온 슬롯산성 별장을 겸임하였다. 이때 던파 온 슬롯산성진의 병력은 3,500명에 이르렀다.
던파 온 슬롯산성 지표 조사 결과 북문, 남문, 서문, 중문 등 성문 4개소가 확인되었으며, 일부는 주15으로 쌓았고 경사면은 편축식으로 던파 온 슬롯하였다. 북문은 홍예식(虹霓式, 주16 주17으로 복원해 ‘대혜문(大惠門)’이란 현판을 걸었다. 내성의 성안마을 입구에는 1866년(고종 3) 병인양요 이후 유비무환의 자세로 국방을 지키기 위해 산성을 고쳐 쌓은 기록이 담긴 ‘던파 온 슬롯산성중수송공비(金烏山城重修頌功碑)’가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