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조선 세종 때 반포되고 영조 때 개정된 우량 관측제도에 의하면, 전국 팔도의 감영(監營)에 야숨 무기 슬롯를 설치하여 강우량을 측정, 보고하도록 했다. 금영 야숨 무기 슬롯는 공주의 충청감영, 즉 금영(錦營)에 설치된 야숨 무기 슬롯라는 뜻이다.
금영 야숨 무기 슬롯는 제작된 이후부터 조선 왕조가 끝날 때까지 70여 년간 공주감영에 설치되어 우량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1910년대 초 일본의 기상학자 와다 유지[和田雄治]에 의해 수집되어 그가 귀국할 때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기상청에서 보관되어오다가, 1971년 우리나라에 반환되었다. 현재 기상청에 보관되어 있다.
청동으로 제작된 이 야숨 무기 슬롯는 표면에 새겨진 “도광정유제(道光丁酉製)”라는 글귀를 통해 1837년(헌종 3)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높이 32㎝, 바깥지름 15㎝, 안지름 14㎝, 무게 6.2㎏이며, 상 · 중 · 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세 단을 분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용할 때에는 꼭 맞게 조정하여 쓰게 되어 있다. 상 · 중 · 하단의 길이는 각각 10.6㎝, 10.5㎝, 10.3㎝이며, 조립하였을 때의 그릇의 깊이는 31.5㎝이다.
조선시대의 야숨 무기 슬롯 관련 유물로 야숨 무기 슬롯를 설치했던 대석(臺石)은 몇 기가 남아 있지만, 빗물을 담는 그릇으로 현존하는 것은 금영 야숨 무기 슬롯가 유일하다. 금영 야숨 무기 슬롯를 이용한 강우 관측 기록도 상당히 많이 남아 있다. 현존하는 『충청감영계록(忠淸監營啓錄)』에는 금영 야숨 무기 슬롯가 제작되기 1년 전인 1836년에서 1895년까지 약 300건의 야숨 무기 슬롯 관측 기록이 담겨 있다. 또한 공주박물관에는 이 야숨 무기 슬롯를 받쳤던 것으로 전해지는 정사각형의 받침돌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