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 금서성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제도
마진과 태봉 시대에 경적(經籍)과 축소(祝疏)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의 부서.
제도/관청
설치 시기
904년(효공왕 8)
폐지 시기
고려 초기
상급 기관
광평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금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禁書省)은 마진과 태봉 시대에 경적(經籍)과 축소(祝疏)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의 부서이다. 고려 태조 때에 명칭을 백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으로 바꾸었다가 다시 내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으로 바꾸었다. 995년(성종 14)에 비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으로 바꾼 뒤에 원간섭기 이전까지 사용되었다.

목차
정의
마진과 태봉 시대에 경적(經籍)과 축소(祝疏)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의 부서.
내용

마진(摩震)과태봉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에 궁궐과 조정의 주3과 축소(祝䟽)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된 부서이다. 904년(효공왕 8)에 궁예는 국호를 마진이라 하고 연호를 무태(武泰)라 하였는데, 이때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에 광평성(廣評省)을 포함한 19개의 관부(官府)를 설치하였다. 이 가운데 10번째 관부가 금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禁書省)이었는데, 그것은 고려의 비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秘書省)과 같은 것이었다고 한다.

금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은 고려 태조 원년의 주1및 국초의내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內書省)으로 이어지며, 그 뒤에 도서(圖書)와 축문 등을 담당한 비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祕書省)·전교시(典校寺)와 연결되는 것으로 보아, 학문적인 관부로 추측된다.

고려의 비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은 995년(성종 14)에 국초의 내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을 고친 것이다. 1298년(충렬왕 24)에 비서감(秘書監)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1308년(충렬왕 34)에 다시 주2로 강등되었다가 그 뒤에 전교시(典校寺)로 승격되었다. 또한 공민왕(恭愍王)은 전교시를 비서감으로 고쳤다가 다시 전교시로 고치기를 반복하였다. 역할은 경적과 축소를 담당하는 것이었다.

한편, 918년(태조 원년)에서 930년(태조 13) 사이에 보이는 백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이 내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의 전신이라는 견해도 있다. 이에 따르면, 금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은 궁예가 국호를 마진으로 정하면서 관제를 정비할 때 궁궐 및 조정의 경적과 축소를 담당할 목적으로 설치되었는데, 고려 건국을 전후한 시기에 백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으로 명칭을 바꾸었고 태조 13년 이후에 다시 내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으로 고쳤다가 성종 14년에 비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으로 다시 고쳤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사』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사절요』
『삼국사기』
『성종실록』

단행본

조인성, 『태봉의 궁예정권』(푸른역사, 2007).

논문

조인성, 「궁예정권의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정치조직」(『백산학보』 33, 백산학회, 1986).
한동명, 「한국중세인쇄문화의 제도사적 연구」(경희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86).
주석
주1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 초기에, 국가 문서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중앙 기관.   우리말샘

주2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 시대에, 예문관에 속하여 축문(祝文)과 경적(經籍)을 맡아보던 관아. 독립 관청인 비서감을 고친 것으로 충렬왕 34년(1308)에는 전교시로 승격하였다.   우리말샘

주3

옛 성현들이 유교의 사상과 교리를 써 놓은 책. ≪역경≫ㆍ≪서경≫ㆍ≪시경≫ㆍ≪예기≫ㆍ≪춘추≫ㆍ≪대학≫ㆍ≪논어≫ㆍ≪맹자≫ㆍ≪중용≫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