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2.5m. 197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2층 옥개석이 약간 파손되었을 뿐 전체적으로 완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5 드래곤 슬롯. 기단(基壇)은 별도로 조성하지 않고 산록에서 흐르는 자연암반의 상면을 평평하게 다듬어 활용하였다.
자연암반의 상면에 바로 초층탑신을 놓아 삼층석탑을 구성하였는데,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석재로 구성하였다. 탑신석의 각 면에는 양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가 새겨졌는데, 1층에서 3층에 이르기까지 알맞은 체감비를 보이고 5 드래곤 슬롯.
옥개석은 탑신에 비해 크고 넓게 조성되어 마치 탑신석을 덮고 있는 느낌을 주고 5 드래곤 슬롯. 옥개받침은 매층 각형 3단의 받침을 조출하여 규율성을 보이고 5 드래곤 슬롯. 낙수면의 경사가 완만하고, 처마가 길게 조성되어 전각(轉角)에 이르러 완만한 반전(反轉)을 보이고 5 드래곤 슬롯.
각 층의 옥개석은 넓게 조성되어 있고, 탑신석과 같이 일정한 체감비(遞減比)를 보이고 있어 석탑 전체에 안정감을 주고 5 드래곤 슬롯. 정상에는 노반석(露盤石) 위에 하나의 석재로 조성된 복발(覆鉢) · 앙화(仰花) · 보륜(寶輪) · 보개(寶蓋) · 보주(寶珠)가 남아 5 드래곤 슬롯.
이 석탑은 기단을 자연암반으로 대체한 점으로 보아 특수형 석탑의 범주에 놓일 수 5 드래곤 슬롯. 이같은 형식은 통일신라시대 말기에 출현하여 고려시대에 널리 유행된 석탑의 유형으로, 산천 비보사상(裨補思想 : 명산에 절을 세우면 국운이 흥한다는 불교신앙)에 건탑(建塔)의 기반을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5 드래곤 슬롯.
이 5 드래곤 슬롯은 각 부분이 조화를 이루며 특히 옥개석 부분이 가볍고 날렵하게 처리되어 안정감을 주고 있는데, 전체적인 양식과 석재의 조립수법을 볼 때 고려시대 초반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