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커뮤니티 금군삼청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금군인 내금위(內禁衛) · 겸사복(兼司僕) · 우림위(羽林衛)를 합쳐서 부르던 칭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커뮤니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금군인 내금위(內禁衛) · 겸사복(兼司僕) · 우림위(羽林衛)를 합쳐서 부르던 칭호.
내용

원래 내금위·겸사복·우림위는 각각 15세기 초엽부터 말엽에 걸쳐 설치된 뒤 무예가 출중한 장번(長番)군사로 편성되어 각각 독자적인 지휘계통을 유지하고 있었고, 이들을 합쳐 내슬롯 커뮤니티(內三廳)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1623년 인조반정을 주도한 공신세력에 의해 호위청(扈衛廳)이 설치되어 이들이 새로 왕권 호위를 맡게 됨으로써 본래의 슬롯 커뮤니티인 내삼청은 그 기능이 약화되었다. 1652년(효종 3) 이후 북벌을 위해 군비를 확충하는 과정에서 분리 독립되어 있던 내삼청을 하나로 묶어 600여인의 군사를 좌·우별장(左右別將)이 통솔하는 체제를 갖추고 이어서 정원을 1,000인으로 늘렸으나 효종이 죽은 뒤 쇠퇴하였다.

슬롯 커뮤니티삼청 또는 슬롯 커뮤니티청이라는 명칭은 바로 이 쇠퇴한 내삼청을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등장하였다. 1664년(현종 5) 슬롯 커뮤니티을 700인으로 정하고 7번으로 교대근무하도록 하는 한편, 이를 1인의 별장이 총지휘하게 하였는데, 그 뒤 대체로 이 체제가 유지되었으며, 슬롯 커뮤니티삼청이라는 명칭도 이 때부터 사용되었다.

슬롯 커뮤니티삼청이 1755년(영조 31)에는 용호영(龍虎營)으로 개칭되었으나, 그 조직이나 기능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임무는 국왕의 동가(動駕)·전좌(展座)를 시위하고 궁궐내 회랑과 도성 8문, 기타 요소에 입직(入直)하는 일 등이었다.

참고문헌

『슬롯 커뮤니티군제사』근세조선후기편(육군본부, 슬롯 커뮤니티군사연구실, 1977)
『조선시대군제연구』(차문섭, 단국대학교출판부, 197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슬롯 커뮤니티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슬롯 커뮤니티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