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책임은 극슬롯 다이연구회의 창립동인인 함대훈(咸大勳)·김광섭(金珖燮)·조희순(曺喜淳)·이헌구(李軒求) 등 4명이 맡았고, 총 60면 내외로 간행되었다.
본래 극예술연구회는 1930년대에 등장한 우리나라 신극운동의 대표적 단체로 여러 인재를 규합하여 슬롯 다이의 상업주의를 배격하고, 서구의 근대적 정통슬롯 다이을 이 나라에 도입, 정착시키려는 의도로 출발하였다.
따라서 그들의 기관지『극슬롯 다이』도 이들의 실천노선을 펴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려는 취지에서 탄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창간사에서 밝힌 “조선에 진정한 극문화(劇文化)를 수립하자.”라는 구호가 이러한 의도를 잘 보여주고 있다.
창간호는 입센의 기념호로 꾸며졌으며, 제2호는 1934년 12월에, 제4호는 1936년 5월에, 마지막 제5호는 1936년 9월에 각각 발간되었다.
이 잡지에 실린 주요논문 및 기사로는 「조선슬롯 다이사상의 극연(劇硏)의 지위」(이헌구)·「입센의 예술과 사상」(김광섭)·「신극과 흥행극」(서항석)·「조선슬롯 다이운동의 20년을 회고함」(윤백남)·「연출법에 대하야」(홍해성)·「극예술연구회의 경과보고」(연구부 편)·「관중시론(觀衆試論)」(김광섭)·「체호프의 앵화원(櫻花園)에 대하야」(함대훈), 「극연의 방송기록」(연구부 편), 「슬롯 다이시감(演劇時感)」(이헌구), 「조선슬롯 다이운동에 대한 소론」(이헌구), 「번역극의 생명」(김광섭), 「극연 경리(經理)의 이면사(裏面史)」(서항석) 등이 있다.
이 잡지는 일제의 민족문화운동 탄압정책에 의하여 정간처분을 받아 더 이상 나오지 못하였다. 이 잡지는 동인지 성격의 극단 기관지이며, 동시에 정기적 성격을 띤 슬롯 다이전문지로서 당시 새로 등장한 신극의 정립을 위해 여러 가지 실천적인 소임도 수행하였다. →극예술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