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메이징 슬롯 주소 권무군관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후기 훈련도감 · 금위영 · 어영청의 3군영에 두었던 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어메이징 슬롯 주소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훈련도감 · 금위영 · 어영청의 3군영에 두었던 관직.
내용

이는 3군영에 각각 50인씩 배정되어 있었는데, 이는 양반자제들을 위한 자리였다. 특히 지위와 문벌이 있고 신체가 좋아 힘이 센 자로써 충원하였으며, 재직 45개월 이내에는 타직으로 옮길 수 없었다.

어메이징 슬롯 주소군관은 1670년(현종 11) 어영청에 처음 설치되었고, 1706년(숙종 32)에는 금위영에, 1717년에는 훈련도감에 설치되었다. 이들에게는 급료가 지급되지 않았고, 근무에 따른 승진규정도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은 이들에게만 특별히 시행되는 어메이징 슬롯 주소시(勸武試)나, 선전관·금군 등 특수군을 위해 매월 시행되던 무예시험인 중순시(中旬試)를 통하여 무과전시(武科殿試)에 바로 나갈 수 있었다. 어메이징 슬롯 주소군관은 그 직임이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양반자제들의 입사를 위해 하나의 방편으로 설치된 형식적인 군관직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속대전(續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만기요람(萬機要覽)』
집필자
이영춘(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어메이징 슬롯 주소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어메이징 슬롯 주소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어메이징 슬롯 주소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어메이징 슬롯 주소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