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 위치 슬롯 머신 권극중 ()

권극중 글씨
권극중 글씨
도교
인물
조선 후기에, 『청하집』, 『참동계주해』, 『역대사요』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정지(正之)
청하(靑霞)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85년(선조 18)
사망 연도
1659년(효종 10)
본관
안동(安東)
출생지
전라도 고부
관련 사건
인목대비 폐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트 위치 슬롯 머신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청하집』, 『참동계주해』, 『역대사요』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정지(正之), 호는 청하(靑霞). 전라도 고부(古阜)에서 태어났다.

생애 및 활동사항

8세 때 임진왜란을 겪었고 13세부터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인 최명룡(崔命龍)에게 수학트 위치 슬롯 머신다. 그는 최명룡의 문하에서 유집(柳輯) · 김동준(金東準) 등과 교분을 맺으며 평생의 지기로 지냈다. 최명룡에게 성리학을 배우는 한편, 최명룡의 지도로 조찬한(趙纘韓)을 따라 시문을 배웠다.

16세 때 연산(連山)에 있던 김장생을 찾아가 학문을 담론하였다. 28세 때인 1612년(광해군 4)에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잠시 태학(太學)에 유학하였으나 곧 낙향하였다. 그 무렵 인목대비의 폐출소식을 듣고 크게 낙담하여 은둔의 삶으로 기울어지게 되었다. 그 뒤 그는 정두경(鄭斗卿) · 이식(李植) · 임전(任錪) 등과 교유하는 한편, 내단트 위치 슬롯 머신(內丹思想)에도 침잠하였다.

저서로는 문집인주1을 비롯하여 ≪트 위치 슬롯 머신계주해(參同契註解)≫ · ≪역대사요(歷代史要)≫ [^2]· ≪비요복서결(備要卜筮訣)≫등이 있으며, 이 밖에 <경연의대(經筵疑對)> · <중흥십조(中興十條)> 등의 글도 남아 있다. ≪청하집≫은 1704년(숙종 30)에 전라도 관찰사 민진원(閔鎭遠)에 의해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는데, 그 안에는 그의 시문과 성리학에 관한 담론내용인 <독서록 讀書錄>이 실려 있다.

≪참동계주해≫(필사본)는 55세(1639) 때의 작품으로 내단트 위치 슬롯 머신의 기본 경전인 ≪주역참동계≫를 주석한 것으로서 조선 도교트 위치 슬롯 머신을 대표할 만한 저서이다. 그는 ≪참동계주해≫에서 유가와 도가를 회통하려는 ≪주역참동계≫의 입장을 받아 들이면서 선불교의 트 위치 슬롯 머신도 적극 수용하는 입장을 취했다.

그리하여 역(易)에 의거하여 내단트 위치 슬롯 머신을 정초(定礎:주춧돌을 놓다)한다는 단역참동론(丹易參同論), 선불교와 내단트 위치 슬롯 머신이 하나로 귀일한다는 선불동원론(仙佛同源論), 선불교의 마음 수련과 도교의 전통적 기(氣)의 수련을 함께 갖춘다는 선단호수론(禪丹互修論) 등을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청하집(靑霞集)』
『조선 시대의 내단 트 위치 슬롯 머신- 권극중의 도교 철학적 사유와 그 전개』(김낙필, 대원출판, 2005)
『조선트 위치 슬롯 머신사』(이능화, 이종은역, 보성출판사 1986)
「권극중 트 위치 슬롯 머신계주해 의 환단(還丹) 원리에 관한 고찰」(최일범, (동양철학28, 2007)
「청하 권극중의 금단시의 이해」(손찬식, 『온지논총』30, 1997)
「권극중의 내단트 위치 슬롯 머신」 (김낙필, 서울대 철학박사논문, 1990)
「권극중 선단호수에 관한 연구」(최일범, 『동양철학연구』9, 1988)
주석
주1

권극중 저술 청하집 : 『청하집(靑霞集)』(트 위치 슬롯 머신문집총간)

주2

권극중 저술 역대사요 : 『역대사요(歷代史要)』.(국립중앙도서관 한古朝50-10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트 위치 슬롯 머신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트 위치 슬롯 머신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트 위치 슬롯 머신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